지구는 왜 똥으로 가득 차지 않을까? 과학 그림동화 38
마츠오카 다츠히데 글.그림, 고향옥 옮김 / 비룡소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벤트로 받은 비룡소의 <지구는 왜 똥으로 가득 차지 않을까?> 신간이 출판되었어요..

비룡소 과학그림동화 중 38번이네요..


과학 그림책 도감의 대가 마쓰오카 다쓰히데가 ‘똥’에 관한 재미난 질문으로 자연의 생태 흐름을 한 권에 묶었다고해요..

조류, 어류, 포유류, 파충류 등 200종 이상의 다양한 동물계의 생태 특징을 아우르며

쉬운 설명과 생생한 그림으로 그 흐름을 보여주고 있답니다..


더럽지만 아이들이 참 좋아하는 소재 '똥'

'똥'이라는 소재 하나로 육해공의 생태 흐름을 아우르는 <지구는 왜 똥으로 가득 차지 않을까?>는

 

귀여운 강아지 한 마리의 호기심으로 시작 하는데..

보다 보니 저와 아들 또한 같은 궁금증이 생기면서 이해하게 되는 재밌는 책이예요..


저히 아들도 책 제목을 보자 마자

"엄마, 이거 모예요? 재밌겠다.."라고 하며 읽었답니다..


누구야? 누가 똥을 안 치운 거야!

내 똥은 사람이 치워 줘. 하지만 까마귀 똥은 사람이 치워 주지 않아.

그로거 보니 토끼, 개구리, 올챙이.......도마뱀들이 싼 똥은 아무도 치워 주지 않아.

새나 물고기가 누는 똥도 마찬가지지. 그 똥들은 모두 어떻게 될까?

그래! 도서관에 가서 알아보자!


라는 주인공 강아지의 호기심 가득한 질문으로 이 책은 시작하고 있어요..


도서관에 간 강아지는 '동물 똥 백과사전-누가, 어디서, 어떤 똥을 싸는가'라는 책을 찾아요...


가장 커다란 똥을 누는 아프라카코끼리

아주 작은 똥을 누는 동물들..

땅, 나무, 하늘, 바다에서 똥을 누는 육해공의 동물...


전 세계에 모든 동물들이 한꺼번에 똥을 누면 지구가 똥으로 가는 차는 게 아닐까? 하는 강아지의 걱정에

절대 그런 일은 없을 거라며 작가는 친절하게 똥의 쓰임을 설명한답니다..


뿔쇠똥구리, 홍여새, 육점통잎벌레 등의 한살이를 자세한 그림으로 설명하면서

생태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똥'의 쓰임을 생생하게 보여주어요..


"으음, 그렇구나. 똥이 무척 쓸모가 많네. 여러가지 식물과 동물이 똥을 써서 없애 주는구나." 라고 깨달은 강아지..

우리 아이들도 강아지와 같이 '똥'은 더러운 것이 아닌 자연생태에 아주 중요한 자원이라는 걸 알게 되겠죠?


이 책은 A4 사이즈 보다 좀 더 큰 사이즈여서 많은 육해공의 동물들을 볼 수 있어요..

하찮아 보이는 '똥'의 중요함도 배우고 동물도감으로서도 손색없는 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