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술 취한 코끼리 길들이기 - 몸, 마음, 영혼을 위한 안내서
아잔 브라흐마 지음, 류시화 옮김 / 이레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테라와다(Theravada, 상좌부) 불교 스님의 글이 우리나라의 유명 작가에 의해 소개된다는 것이 개인적으로 기쁘다. 테라와다 불교가 어떤 것인지, 우리나라 불교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아잔 브라흐마의 사진>
테라와다(상좌부) 불교
현재 불교는 크게 북방불교와 남방불교, 혹은 대승불교와 소승불교라는 식으로 나뉘어지고 있으나 부처님 시대에는 이런 나뉨이 없었습니다. 부처님이 반열반에 드신 후 100년이 지나고 나서 불교에는 부파불교 시대가 열리었는데 그때 상좌부 불교와 대중부 불교(나중에 대승불교가 됨)로 나누어지게 된 것입니다. 대승이니 소승이니 하는 것은 부처님의 법을 따르고 의지하는 데에는 별 의미가 없는 나뉨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인도, 티벳, 중국, 일본 등으로 전파되어온 대승불교권에 속하게 되어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로 전파된 남방불교에 대해서는 모르는 것이 많습니다.
테라와다(Teravada)라는 말은 "장로(長老)들의 길"이란 뜻으로 상좌부(上座部)라고 합니다. 상좌부 불교에서는 부처님이 사용하셨던 팔리어로 된 경전을 근간으로 하여,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진 대승 경전과 대비됩니다. 이 팔리어 경전(아함경)은 기원전 1세기경 스리랑카에서 최초로 쓰여진 것으로 기독교 시대가 열린 이후에 형체를 갖추어가기 시작한 대승권의 산스크리트어 경전이나 다른 어떤 경전보다도 부처님의 가르침이 더 사실적이고 정확하게 나타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상좌부 불교는 지금까지 살아남은 유일한 전승 불교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까지 상좌부 불교에 거의 접근해 보지 못했으며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들도 무미건조한 역사적 사실의 나열일 뿐이어서 상좌부야말로 살아있는 불교의 전통이라는 사실이 놀라움을 금치 못하게 합니다. 왜냐하면 많은 불자들은 중국이나 일본의 선(禪), 티벳의 밀교에 관심이 많아 단순하고 역설적인 선의 직관적 방식이나 미묘한 교리상의 특징, 부처나 보살들이 펼치는 기적이나 환시(幻視)를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상좌부 불교의 경전은 일차적으로 불교의 뿌리에 근거를 둡니다. 말하자면 팔정도(八正道), 십이연기법(十二緣起法), 무아(無我), 사성제[苦, 集, 滅, 道] 등의 사상이 반복되어 강조되고 설명되어집니다. 상좌부 불교 이론과 불교 심리학의 상당한 부분이 삶의 거의 모든 측면을 체계화시켜 놓고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열 가지 번뇌’, ‘관(觀)의 네 가지 대상(4념처)’, ‘깨달음의 네 단계’같은 것들이지요. 다소 복잡하게 보일지 모르지만 이런 가르침들은 수행의 근본적인 요소들을 정교하고 깨끗하게 다듬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수행은 마하 사티파타나(Maha Satipatthana : 4념처)입니다. 이 수행은 호흡하는 것을, 마음을 챙겨 지켜봄으로서 신체 각 부분과 감각 대상, 마음과 마음의 대상에 대한 관찰을 하는 것입니다.
상좌부 불교는 삶을 덧없고 근본적으로 고통스러운 것으로 봅니다. 그래서 인간이라는 존재가 갖는 유일한 실체적 가치는 깨달음의 성취, 즉, 열반(Nibbana)에 있다고 하는 것이지요. 상좌부 불교는 그 가르침과 수행의 많은 부분에 있어서 분명히 부정적인 특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행자들은 언제나 의도하지 않은 단순한 상태, 그리고 통찰력과 지혜와 자유의 필요성에 그 뿌리를 두어야 합니다. 여기에서 우리가 대승경전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붓다의 미묘한 기적이나 깨달음에 대한 찬양의 노래는 거의 없습니다. 또한 선시(禪詩)에서 볼 수 있는 깨달은 자의 자유로움이나 본성의 아름다움에 대한 찬양의 시도 없습니다. 그리고 밀교의 복잡 미묘한 방법론이나 황홀경의 노래도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좌부 불교는 결코 희열을 배척하는 종교가 아닙니다. 알란 와트(Alan Watt)는 마지막 저서인 [도(道) : 물길(The Watercourse Way)]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상좌부 불교가 번창하고 있는 나라에 사는 민족들은 모두 무한히 즐겁고 인간적인, 생각이 열린 사람들이다."
상좌부 불교는 인간의 정신과 삶에 굳건히 뿌리를 내리고 있습니다. 그것은 강하고 균형 잡힌 정신력과 주의력, 그리고 통찰력을 통해 생사윤회의 속박에서 인간을 해방시키는 것에 가장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자료: 보리수선원 http://www.borisu.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