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대중문화 분야 주목할만한 신간 도서를 보내주세요

 

 

 

 

쏟아지는 명화 이야기 

내가 미술에 관심을 두게 된 건, 대학 즈음일 것이다. 사춘기도 아니고, 20대의 치기 어린 반항도 아니고, 고작해야 학교 가기 싫어하는 초등학생처럼 나는 결석을 밥 먹듯이 했다. 그래서 읽었던 책이 바로, 이주헌의 책들이었다. 로망으로만 간직했던 프랑스의 마네, 모네에 심취하게 된 것도 어쩌면 그 무렵이었던 거 같다. 

미술은 아니 미술관에 간다는 것, 그림을 볼 줄 안다는 건 그만큼의 교양과 취향이 필요하다. 물론 수용자의 감응을 무시한다는 것은 아니다. 칸트가 말한 바대로 미학적 판단은 '무관심'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술관을 간다, 라는 문장은 고급취향을 갖고 있다는, 그만큼의 사회적 자본을 획득하고 있다는 자기 과시의 표현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미술 읽기, 명화 읽기, 그림 읽어주기는 고급문화, 고급취향을 보편화해준다는 측면에서 환영할 만하다. 물론 그 안의 깊이야 다르겠지만 말이다. 이런 담론들이, 텍스트들이 많아진다는 건 독자 혹은 대중의 재귀적 판단을 촉구해, 담론의 재생산을 이루어준다는 면에서 일견 반가운 일이다.   

 

 

 

 

 

 

 

  

쉬레이의 예술 삼부작,  집, 맛, 몸.   

나는 고고학적 방법을 따른 책에 흥미를 느낀다. 필립  아리에스의 아동의 탄생에서도 그랬고, 푸코가 권력을 시대 구분별로 나누어 추적한 감시와 처벌에서도 그랬다. 하지만 무지하게도 아직 푸코의 감시와 처벌을 읽어보지는 못했다. 그 내용이 주는 숭고함이라까? 큰 바위 앞에 서면 쫄아든다는 느낌이 아직 많이 남아있기 때문이라고 스스로 변명을 하면서 말이다.  

아동의 탄생은 아동이 탄생하게 된 역사적 우연성에 대한 이야기이다. 책을 받았을 때의 어마어마한 무게감에 비하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작은 어른이었던 인간이 갑자기 어머니의 보호와 아버지의 사랑으로 자라야 한다, 천사 같은 마음을 지니고 있으며 순수하다, 라고 발명된 인간이 바로 어린이, 아동이기 때문이다.  

서양 학문의 매력은 여러가지의 사례들을 깊이있게 천착, 조사하여 하나의 이론을 새운다는 데에 있다. 중세에 보여주는 처벌적 권력에서, 근대의 훈육적 권력으로, 그리고 지금 내재적 권력으로 변화된 양상을 시대별로 천착해 들어가, 끝끝내 그런 권력이 생겨날 수밖에 없는 토대, 구조, 푸코의 말로는 에피스테메를 찾아내기 때문이다.  

물론 그렇다고 위의 책들이 그런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는 건 아니다. 제목에서 느껴지는 뉘양스가 하나의 주제인 예술을 집, 몸, 그리고 요리로 변주해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새빨간 표지도 마음에 든다. 왠지 에로틱하면서도 알게 되면 무시무시한 일이 벌어질 거 같은 매혹을 주기 때문이다.  

책을 읽어봐야 한다. 책의 내용이 보잘 것 없을 수도 있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