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산이 쉬워지는 직산과 수 세기 1~10 세트 - 전10권 - 아신나 유아 수학
키 유아학습방법연구소 지음 / 키출판사 / 2025년 3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요즘 들어 다섯살 아이가 숫자에 조금씩 관심을 보이기 시작해서, ‘어떻게 하면 재미있게 수학을 알려줄 수 있을까?’ 고민하던 중 만나게 된 교재가 바로 《연산이 쉬워지는 직산과 수세기》입니다.
아신나 유아 수학
연산이 쉬워지는 직산과 수세기

수학이라고 하면 너무 어렵고 딱딱하게 느껴지는데, 이 책은 처음부터 ‘놀이처럼, 그림처럼’ 다가갈 수 있어서 참 좋았어요. 유아학습지들은 그림을 많이 활용한 교재들이 많긴 하지만, 아이가 신나게 할 수 있는 유아 학습지 성격이 조금 더 담겨있는 교재가 아닐까 싶습니다.
사실 숫자 1부터 10까지는 아이가 말은 할 줄 아는데, 수와 양을 연결해서 말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몇 개인지를 물어보면 하나하나 손가락을 세며 겨우겨우 답을 말하곤 했어요.
그 모습을 보며, *숫자를 안다고 해서 양의 개념과 연결하거나 계산이 되는 건 아니구나* 싶은 생각이 들더라고요.
《연산이 쉬워지는 직산과 수세기》 교재명을 보면, '직산'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직산'이라는 개념을 이 교재를 통해 처음 접했어요.

을 줄여서 '직산'!
예를 들어, 아이 눈앞에 도토리가 3개, 또 옆에 2개가 있으면
하나씩 안 세도 “다섯 개!” 하고 바로 말할 수 있는 것
이게 바로 직산이에요.
《연산이 쉬워지는 직산과 수세기》는
아이들이 숫자나 기호를 보기 전에 수량을 ‘느끼는 법'을 먼저 익히게 도와줘요.
점 그림, 블록, 다양한 색깔과 형태로 수를 보여주면서
아이 스스로 “이건 몇 개야!” 하고 눈으로 보고 바로 인지하는 능력을 길러주더라고요.
《연산이 쉬워지는 직산과 수세기》
하나 교재 표지에는 '하나'인 '해'그림이 그려져 있고요.
둘 교재 표재에는 뿔도 2개, 눈도 2개, 이도 2개인 쌍둥이 몬스터가 그려져 있습니다.
얇은 유아 학습지 10권이 세트로
숫자 하나씩, 패턴으로 쉽게 배우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 몬스터, 물고기, 문어와 같이 아이가 좋아하는 그림들로 채워져 있습니다.
책 안을 열어봐도 페이지마다 그림들이 있으니, 아이가 숫자 공부라는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저녁 먹고나면 아이가 먼저 수세기 교재를 들고 옵니다.

하나, 둘, 셋 정도의 숫자는 그 양과 잘 연결하여 생각하는 편인데요.
둥글둥글하게 생긴 3을 쓰기 힘들어하는데요.
나비 날개, 꽃잎 모양, 토끼 귀를 따라 그려진 3의 모양을 자연스럽게 따라 그립니다.
요즘 어린이집에서 숫자 공부, 한글 공부를 시작한 아이는 집에 오면 알아서 배운 내용을 계속 말하고 반복하는 편인데요. 세고 말하는 것은 잘하는데도, 어려운 숫자는 쓰기는 어려워하더라고요. 그런데 이렇게 그림 그리듯이 숫자 쓰기를 도와주니,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아이는 제법 잘 따라 그립니다.
첫째 키울 때 활용했던 교재들은 쓰기나 선 긋기가 우선이고 스티커는 보조같은 느낌이었다면,
이 교재는 스티커와 색칠하기 등의 활동이 더 많습니다.
우리 딸처럼 수 세기 첫 교재로는 이런 활동이 훨씬 좋은 것 같아요. 아이가 거부감없이 숫자공부를 놀이처럼 생각합니다.

문제 구성도 단순하면서 직관적이라 글을 잘 못 읽는 아이도 그림만 보고 스스로 진행할 수 있었어요.
엄마는 옆에서 칭찬만 해주면 됩니다.
그래서 유아 학습지는 5살 둘째가 초등학생인 오빠랑 놀면서 하는 학습지입니다.
그런데도 이 교재를 하기 전보다 더 정확하게 숫자를 셉니다.
처음엔 세면서 풀더니, 며칠 지나니까 공 5개를 보곤 바로 “이건 다섯!” 하고 말하더라고요.
수 감각이 살아나는 게 느껴졌어요. '직관적으로 수를 계산한다는 게 이런 거구나'라는 느낌이 들었어요.
6부터는 5보다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6은 주사위, 7은 무지개, 8은 문어와 같이
그 수와 관련된 물건이나 동물을 활용하여 수를 세기 때문에 훨씬 쉽게 받아들이는 것 같았어요.
수학은 무작정 외우는 게 아니라, ‘느끼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걸 이번에 처음 알았어요.
직산을 통해 아이가 수에 대한 감각을 자연스럽게 키워가니까
연산도 더 수월해지고, 무엇보다 자신감이 생기더라고요.

숫자를 처음 배울 때에
'숫자 7를 쓰고, 수만큼 O를 그려 보아요.'라고 문제가 나오는데요.
저는해당 페이지를 '하나'교재에서 처음 보았을 때에,
10칸에 동그라미 하나만 그려야 한다는 생각을 못 했어요. 문제를 읽기 전에 먼저 '1'을 다 채워야겠다는 생각부터 들었던 것 같아요.
첫째가 둘째와 공부하고 있었기 때문에, 저는 문제는 제대로 읽지 않고 조금 떨어져서 빈 칸만 보고 있고 있었거든요. 그래서 '1을 다 써야 하는 거야?'라고 물으니, 첫째가 '엄마, 이건 1만큼 O을 그리는 거야.'라고 설명해주더라고요. 수 하나를 배울 때마다 그렇게 칸을 채우면서 아이는 그 양을 늘어나는 것을 체감하게 되는 것 같아요.
아이와 매일 10분, 수학이 더 이상 어려운 과목이 아니라
‘재미있는 놀이’가 되는 기적 같은 경험,
《연산이 쉬워지는 직산과 수세기》로 시작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