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팔사략 2 - 춘추시대
고우영 지음 / 애니북스 / 2004년 11월
평점 :
품절


자! 이번엔 춘추시대(春秋時代)편!!
1권의 흥분이 채 가시기도 전에 또 다른 기대를 안고 내 머릿속에선 중국의 역사 이야기를 이어나갔다. 역시나 변함없는 재미때문에인지 술술 읽히는 것이 시간이 벌써 이렇게 되었나라고 중얼거리면서 자연스레 날 웃게 만든다.

주(周)왕조를 중심으로 하고, 다른 여러 제후들의 나라가 난립하는 시대가 바로 춘추시대인데, 그런 어지러운 시대에 눈에 띄는 영웅이 두 명 있으니, 그들은 바로 제(齊)나라 환공(桓公)과 진(晉)나라 문공(文公)이다. 

우선, 제나라를 살펴보면 13대 임금 희공의 자식은 강제아, 규, 문강, 소백 이렇게 3남 1녀였다. 그 중 가장 총명하고 큰 그릇은 막내 소백(小白)이고, 그의 가정교사가 지금도 회자되는 포숙아(鮑叔牙)였으며, 포숙아의 절친한 친구는 다름아닌 천재 관중(管仲)이었다. 그 유명한 관포지교(管鮑之交)라는 말은 이 두 사람의 우정과 의리에서 나온 말이고, 관중은 규를, 포숙아는 소백을 모셨는데, 둘 사이에 아주 대단한 일화가 있다. 

강제아(齊 襄公)의 사촌형인 무지(無知)가 모반을 일으켜 양공(襄公)을 죽이고 정권을 장악했으나 양공보다 더 폭정을 일삼자 관중은 규와 노나라에, 포숙아는 소백을 데리고 일단 거나라로 피신해 있다가 다들 때를 기다렸다. 그런데, 무지가 살해되어 왕위를 놓고 관중과 포숙아가 제(齊)나라 수도 임치를 향해 달려가는데, 관중은 길목을 지키고 있다가 소백에게 독화살을 쏘게 된다. 관중은 소백이 죽은 줄로만 알고 규를 모시고 여유있게 제나라로 가나, 공교롭게도 화살은 소백의 허리띠의 쇠붙이에 박혀서 죽지않고 수도 임치에 먼저 도착, 결국엔 제나라의 임금(齊 桓公)이 되었다. 이를 분하게 여겨 관중은 노나라의 힘을 빌려 싸웠으나 결과는 참패하게 되어 참수형으로 처벌될 위기에 처했지만, 포숙아의 천거로 오히려 제나라 재상자리에까지 오르게 되었으니 훗날 관중은 죽으며 이렇게 말한다. 
"나를 낳아준 이는 부모요, 나를 알아준 이는 포숙아이다."

한편, 여색을 밝히는 진(晋)나라 헌공(獻公)은 아버지의 애첩을 가로채 아이를 낳으니 그 이름이 신생(申生)이고, 적(狄)족 자매를 첩으로 가졌는데, 언니는 중이(重耳), 동생은 이오(夷吾)를 낳으며 또, 융(戎)을 정복하고 얻은 여인 여희로부터 해제(奚齊)를 낳는다. 그런데, 여희는 조국을 망하게 한 진(晋)에 대한 철저한 복수를 하려고 부자지간을 이간계로 파멸시키려는 계획을 가지고 첫째 신생을 자결하게끔 하고, 세째 이오와는 아버지와 전쟁을 하게 만들었으며, 둘째 중이 역시 자결하도록 유도했지만 도망쳐나와 중이는 그를 따르는 가신들과 함께 근 20년동안 이곳저곳 타국으로 떠돌이 거지 생활을 하게 된다. 그러다가 결국, 중이를 알아주는 사람들 덕분에 좋은 기회가 와서 결국 진(晋)나라의 패자(覇者)가 된다. 그가 바로 진 문공(晋 文公)인 것이다.

그리고, 이 시대에 오자서(伍子胥)라는 인물도 등장하는데, 그는 초(楚)나라 평왕(平王)이 아버지와 형을 살해하자 여러나라를 떠돌다가 양자강 하류의 오(吳)나라에 정착하는데, 합려가 오왕으로 즉위하는 것을 도와 그의 신임을 받고 손무(孫武)와 함께 오나라의 국력신장에 크게 기여했다. 강해진 국력을 바탕으로 초나라를 정복하고, 오자서는 이미 죽어 장사까지 지낸 초 평왕의 무덤을 파헤쳐 시신을 채찍으로 3백여 차례나 때리고 아버지와 형의 원수를 갚았다고 사기(史記)와 십팔사략 원전에는 전해지고 있다. 정말 무서운 복수극을 보는 것 같아서 아주 인상 깊었다.

또한, 오(吳)와 월(越) 간의 전쟁이야기가 춘추시대의 마지막 부분을 장식하고 있는데, 오왕 부차(夫差)가 가시 위에서 잠을 잔 것이나 월왕 구천(勾踐)이 쓸개를 핥은 것은 모두 뒷날의 복수를 다짐하며 자신에게 채찍을 가한 행위인데, 이를 가리켜 ’와신상담(臥薪嘗膽)’이라고 한다.

이렇듯, 춘추시대는 수없이 난립하는 여러나라의 정신없는 싸움과 왕위찬탈을 위한 죽이고 또 죽이는 혈전이 난무한 시대였다. 아무튼, 다음엔 전국시대로 가보도록 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