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가계부 부자들 - 서툰 재테크는 부채만 남긴다 당신의 재무주치의 1
제윤경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작년에 저자의 <아버지의 가계부>라는 책을 정말 마음에 와닿게 읽은 기억이 있다. 
그 책은 단순히 부자가 되는 방법이나 재테크 노하우를 딱딱하게 소개한 책이 아니라, 등장인물이 나오는 이야기 형식으로 보통의 가정경제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이나 돈 때문에 생기는 부부간의 갈등 등 너무나도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재미까지 곁들여서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썼기에 아직까지 그 내용들이 생각난다. 
개인적으로 CMA란 개념도 그 책을 통해서 처음 알게 되었고, 국내외 펀드, 주식, 부동산 투자 등등의 여러 재테크 방법들보다 가계부 하나 쓰는 것이야말로 정말 큰 돈이나 힘 안 들이고, 돈을 모을 수 있는 기본 중의 기본이자 어찌보면 필수라는 생각을 갖게끔 했다.

이 책 역시 그 <아버지의 가계부>란 책의 연장선상에 있는 책이라고 생각되어지는데, 저자는 주로, 부동산 투자 재테크 방법을 걱정하다못해 경고까지 하고 있다. 어떤 경고냐고?
부동산이 바로 가정경제 더 나아가 국가경제 파탄의 주범이 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쉽게 말해서, 아파트 같은 부동산으로 대박은 커녕 감당하기 힘든 엄청난 빚을 안고 길거리에 나앉을수 있다는 말이다.

물론, 우리 주위의 사람들을 보면 아파트, 주식, 펀드 등으로 쉽게 돈을 벌고 잘 된 경우도 있다.
문제는 그냥 단순히 ’나도 남들처럼 그렇게 하면 대박 나겠구나’ 하는 안일한 생각인 것이다.
아니,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이 방면 전문가들도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은데, 하물며 비전문가인 일반인들이 남들 주식, 펀드, 부동산 투자한다고 나도 막연히 따라해서 돈 좀 벌어보겠다는 생각이야말로 위험천만한 발상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아파트 관련해서 꼭 명심해야 할 것은 
자기가 살고 있는 아파트 시세가 수치상 몇 억 올랐다고 그것만 믿고 마이너스 통장을 사용해서 생활비를 지출한다던가 더 오를까봐 못 팔다가, 혹시 팔더라도 더 큰 집으로 늘릴려는 욕심으로 빚을 더 얻는다면 아파트로 인한 재테크가 되는 것이 아니라, 빚더미 그 자체에 눌려 파산상태까지 갈 수도 있다는 무시무시한 시나리오도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돈은 내 수중에 있을 때 가치가 생기는 것이고, 집을 사는 것이 반드시 돈을 버는 길은 아닌 것이다.

그래서 더욱, 저자는 그런 식의 재테크 방법보다는 가계부 하나 쓰고 수입지출관리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돈을 모을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맞는 말이고, 그런식으로 몇 년 노력하고 관리하면 돈을 분명 모을 수 있다. 
그런데, 사람들은 보통 ’지금이 7~80년대도 아니고, 누가 그렇게 일일이 가계부를 쓰고 돈관리를 해?’ 라는 생각을 하니 가계부 쓰는 것을 귀찮아들 하고 실천하지 않는다.
그냥 집만 가지고 있으면 곧 내 돈이라는 생각이나 일확천금의 생각으로 주식이나 펀드, 복권 등등의 방법으로 재테크를 하는 것은 언제건 빚을 떠안을수 있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모른채 말이다.

2008년 대한민국의 자화상. 
현실은 너무도 사람들을 힘들게 하고 있다. 
특히, 고유가 시대, 고금리 시대에 서민들은 너무나도 살기 어려운 시대이다. 
이 힘들고 어려운 시기를 잘 해쳐나가고 이겨내려면 남들 다하는 것을 무조건 쫓아하는 것보다는 - 예를 들면, 우리나라 학부모의 교육열풍을 생각해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  뻔한 말일지는 몰라도 기본부터 충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책에 말하는 그 기본은 다름아닌 ’가계부 쓰기의 일상화’를 말하고 있고, 단순한 수입지출만 체크하는 것이 아니라, 고령화 시대에 맞게 구체적으로 또, 체계적으로 재무관리를 해야한다고 역설하고 있다.
언제까지 돈을 벌 것이며, 얼마나 벌고 얼마나 지출, 저축할 것이며, 나아가선 인생의 하고 싶은 일들도 설계해보는 것을 구체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말인데, 그럼으로써 돈의 흐름도 명확히 할 수가 있고, 이리저리 쓸데없이 새어나가는 돈을 잘 관리하게 되어 결국엔 하고 싶은 일들이나 미래에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자산을 만들어가보자는 것이 핵심인 것이다.

자! 지금 바로 가계부를 꺼내보자!! 
우리의 행복한 인생과 미래의 꿈을 설계하는 초석이 될지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