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만들어진 한국사
이문영 지음 / 파란미디어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역부환조란 족보와 관련하여 종종 언급되는줄 안다. 아버지를 바꾸고, 할아버지(혹은 조상?)을 바꾼다는 말이다. 현실에서는 거의 불가능하거나 하다고 보면 된다. 

난 종종 이런표현을 사용하곤 한다. 성공하는 방법중의 최고는 이건희의 아들로 태어나는 것이라고. 이또한 역부라고 할수 있겠다. 

족보와 관련하여 역부환조가 제법 있을 것이다.이런 종류의 역부환조는 왕조사에도 적용될수 있다고 본다. 

본문에 저자는 박창범 이란 천문학자의 삼국사기등의 일식관련기사에 대한 비판을 한다. 타당성이 있음을 인정한다.어디까지나 타당성을 인정할수 있다는 것이다. 

그 비판은 삼국사기의 일식관련기사가 중국사서를 베꼈을 가능성을 언급한 점이다. 이또한 일종의 역부환조랄수 있다. 삼국사기의 일식관련기사가 중국의 사서를 베꼈따고 충분히 가정할수 있다. 무슨이유로 베꼈을까 한번 생각해 봄직하다.그런데 똑같은 이유로 일식관련기사만이 아니라 다른 내용도 베꼈다고 생각해보는건 어떨까 생각해본다. 그런데 저자는 거기까지만 이다. 더 진전을 시킨다면 삼국사기의 사료적 가치가 환단고기수준(?)으로 전락하거나 자신의 학문적 근거를 무너뜨리지 않았을까 하고 나는 생각해본다. 

자 다음과 같은 사례를 한번 가정해 보자. 

당신이 조선시대의 양반이라고 가정해 보라. 혹은 왕이라고 생각해도 좋다. 그런 당신에게 어느 노비가 당신에게 말하길 " 당신과 나는 평등하게 태어났소! , 왜냐하면 당신과 나는 같은 민족이기 때문이오." 라고 말한다면 ?  

그런데 당신에게는 계집종과의 사이에서 아들을 두었고, 조선시대의 질서대로 정실부인에게서 난 아들과 달리 서얼로 차별을 정당화 해 왔다는 점을 감안해 보시길 바란다. 

내가 이런 가정을 제시하는 이유는 근대국민국가와 왕조시대의 왕조국가의 괴리를 주장하고자 함이다. 

왕조시대의 왕조국가의 역사관을 근대국민국가의 역사관과 동일시 할수 없고, 조선왕조사가 결코 한국사가 될수 없다는 말을 하기 위함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줄라이 2010-09-08 14: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환부역조는 들어봤어도 역부환조는 듣느니 처음임. 사자성어도 도치가 허용돼나?
횡설수설이란 말이있다. 맥도 없이 뭔주장인지 논점도 없이 사오정짓을하는경우를 이른다.
아니, 그렇다면 원시모계나 가부장적 부권사회든, 석기나 청동기나 철기든, 절대왕권이나 귀족정이나 양반사대부사회나 재벌이 지배하는 사회나 대의민주사회등 주도세력이 누구든 그게 우리역사냐 아니냐와 무슨 관계인가? 이 친구는 민중이 주인되는 역사야말로 우리 역사의 계통으로 인정한다는 말 같은데, 좋은 의견인데! 그건 주도세력을 바라보는 관점 아니겠는가? 어찌 자민족 역사의 연속성과 연계를 삼으려 하는가?
 
KAL858, 무너진 수사발표
신동진 지음 / 창해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국가 또한 허구란 생각을 오래전 부터 해왔다.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해보자. 산부인과에서 아이가 뒤바꼈다. 각자의 부모와 아이들은 서로를 살붙이로 여기고 살아갈 것이다. 특이한 이상징후만 나타나지 않는다면 말이다.  국가또한 이와비슷하다는게 나의 오래전 부터의 생각이었다. 국가가 과연 실체일까 ? 누군가에게는 구체적인 상황하에서 구체적인 실체이겠지만 다른이에게는 없느니만 못한 폭력도구일수도 있다. 

KAL858기 사건은 개한미gook 의 조작극이란 판단을 내린지는 이미 오래이다. 주장내지 일방적인 발표만 존재하고, 구체적인 물증은 전혀없는 사건이니 나름대로 타당한 결론이라 생각한다.  

도서관에서 한번 읽어보고, 유가족에 대한 나 나름대로의 위로차원으로 구매하였다.(의혹속의 칼기폭파사건 이란 책을 이사중에 잃어버린 것이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들어진 신 - 신은 과연 인간을 창조했는가?
리처드 도킨스 지음, 이한음 옮김 / 김영사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자가 이해하기 쉽게 잘 쓴 책이다. 평소에 언론에 뜨는 책을 읽는 편이 아닌데, 읽게된 동기는 기독교(인)의 위선을 많이 보아왔기에 그들의 위선에 대처하고픈 마음에 읽게 되었다고나 할까 ? 저자에 의하면 나 자신은 무신론자이다. 하지만 나는 신의 존재를 거부하지만 나 자신을 무신론자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무신론자라는 표현은 기독교적인 사고방식을 전제하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 책은 기독교인들이 더 많이 읽어보아야 할 책이 아닐까 ? 하는 느낌이 드는 책이다. 그 이유를 나름대로 들어보자. 나는 평소에 스스로 기독교인임을 자처하는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다보면 기독교인이야 말로 무신론자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인간사의 거의 모든 선한 이미지를 신에다 부여하고선 고작 한다는 말이 기독교 만이 구원의 종교란다.심지어는 구교도 조차(교황이 - 혹은 카톨릭- 다른 종교에도 구원이 있다는 식의 발언을 한걸로 아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해방 3년사 1945-1948 - 문화의 창 7
이완범 지음 / 태학사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나는 '좌' 니 '우' 니 혹은 '진보적인', '보수적인'  이라는 표현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나름대로 그개념을 이해하려다 보면 결국 뒤죽박죽 개념이라는 깨닫곤 하기 때문이다. 이 책을 도서관에서 읽어 보았다. 책의 제목이 적당하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한국해방 3년사' 보다는 '개한미gook 3년사' 정도가 적당하지 않을까 하는....

자 그 이유를 제시하겠다.

한반도에서의 해방정국하에서 모스크바 3상회의는 재미있는 국면이다. 3상회의 (언급상)결정사항의 주요소는 조선의 통일된 임시정부수립과 신탁(혹은 원조)이다. 이 책에서 저자의 주장에 의하면 3상회의 결정은 실체가 애매모호한 (언어적인)수사라는 정도인것 같다.그런데 저자는 좌익의 모스크바 3상회의 지지는 찬탁과 연결시킨다. 그러나 우익의 반탁에는 모스크바 3상회의 반대와 결부시키지는 않는다.  마치 '모스크바 3상회의 절대지지'란 사진밑에 '찬탁시위'라는 밑글을 단 교과서를 보는 것같다.

그리고 저자는 미군정은 찬탁을 친소와 결부시켰다는 도표를 작성하기까지 하였다. 그런데 찬탁은 미국이 추진하였던 것인데 ..... 좌익이 미국이 추진하는 찬탁을 지지하는 것이 친소라니 ? 물론 저자는 개한미gook 인답게 미군정이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내용으로서 탁치주장을 미국의 주장이 아닌 소련의 주장이라는  거짓발언을 하였다는 것을 언급하지는 않는다.

역사라는 것이 해석의 학문이라는 발언이 있지만, 이런 종류의 책을 읽다보면 역사는 해석의 학문이라기 보다는 거짓말의 학문이라는 생각을 금할수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로 쓰는 냉전의 역사
존 루이스 개디스 지음, 박건영 옮김 / 사회평론 / 2002년 3월
평점 :
품절


남성적인 전쟁에서 보편적으로 발생하는 강간을 두세차례 언급을 하는 대목이 나온다. 소련병사들이 유럽의 점령지역에서 여성들을 강간하였던 것이 소련의 권위주의체제에 기인한다는 , 그래서 냉전에 일부 역할을 제공하기도 한다는 ...... 과연 저자는 미국병사들이 전쟁터에서 소련 병사와 같은 강간행위가 전혀 없었다고 생각하는 걸까 ?

난 이런 대목에서 과거 한반도 에서의 소련병사와 미국병사에 의해 이땅의 여성을 대상으로한 강간사건을 떠올렸다. 저자의 말과 비교하면 권위주의적(?)인 체제하의 소련병사나 민주주의적(?)인 체제하의 미국병사나 이땅의 여성들을 강간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체제상의 차이점이 전혀 없었다. 그러나 사후처리는 양극을 치달았다.

권위주의적인 소련은 헌병을 투입하여 강간을 한 병사를 총살등의 처벌로 나름대로 재발방지에 노력을 하였고, 일정정도의 성과를 이룬것으로 알고 있다. 

반면에 민주주의적인 미국은 미국병사의 강간행위에 별다른 사후처리를 하지 않은것으로 알고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ㅇㅇ 2011-10-05 04: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별 어처구니 없는 주장 다 보겠습니다. 소련이 무슨 헌병을 투입해서 처벌을 가하고 재발을 방지했답니까. 당시 소련군의 전쟁 범죄는 다른 연합군인 미군이나 자유프랑스군보다 심했고 스탈린 역시 이를 방조했습니다. 스탈린이 붉은 군대는 도덕적으로 완벽한 군대가 아니고 병사들에게 자율성을 좀 주라고 발언한건 유명한데 말입니다. 이건 뭐 사전지식조차 없는 양반이 리뷰라는 이름으로 배설을 해놨군요.

김원태 2011-10-05 11: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한반도에서 소련군 병사는 초기에 조선여성들을 분명히 강간하였읍니다. 하지만 유럽에서와는 달리 조선여성을 강간한 소련병사들은 분명히 처벌하였읍니다.
제 글에서는 분명히 한반도에서의 상황을 설명한 글이었으며, 유럽을 전제로 한 것이 아니었읍니다.
분명히 저는 병사들의 태도에 있어서 차이점이 없다고 언급하였읍니다.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