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참 지난 포스팅


=============================================================================




창녕 우포늪. 늪에 빗방울 떨어지는 소리까지 들리면 좋겠지만...


#1. 

원래 계획은 우포늪 따라 한바퀴를 쭉 걷기로 했는데, 몇일전 내린 비로 길이 막혀 중도포기했다. 그 길목에서 만난 관리아저씨 덕에 우포늪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늪이라 해서 고인 물이 아니라는것과, 늪이 댐을 대신할 정도로 많은 물을 가둔다는 것, 한해살이 수중식물들이 침잠하여 바닥을 이룬다는 것, 원래는 더 넓은 늪인데 사람이 쌓은 제방에 갇혀 일부는 개간되고 일부는 갈라져 각각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는것(우포, 목포 같은) 등등. 하지만 가장 기억남는건 그 아저씨가 은퇴후 고향으로 돌아왔다는 점이다. 비록 국민학교때까지만 머문 동네고 청중년시절 삶의 터전은 가까운 대도시 대구였지만, 은퇴 후에는 어릴적 추억이 있고 부모님을 모신 고향 우포늪으로 돌아오게 되더라는 그 말에 순간 부러움이 앞섰다. 나의 고향이란 것은 굳이 말하자면, 네모반듯한 아파트 단지와 아이들 소리 시끄러운 놀이터 정도다. 소를 먹이고 친구들과 멱감은 고향이 있다는 점이 부러웠고, 자랑할 수 있는 고향이랄게 없는 우리 세대가 안쓰러웠다.


#2.

그렇게 막혀버린 길목이다보니, 원래 계획한대로 출발점에서 버스를 타는건 불가능해졌다. 우포가 고향인 그 아저씨는 막힌 길목 근방에 있는 다른 버스정류장을 추천해줬고, 한시간에 한대꼴로 오는 버스를 기다렸다. 시골에서의 시간관념은 대도시와는 확실히 다르다. "금방와, 한 2-30분 있으면 올거야" 라고 태연히 말씀하시길래, 나도 태연히 정류장에서 30분 가량 버스를 기다렸다(셀카봉이 좋은 친구가 되어주었다). 근데 희안한 게 멍때리며 보낸 그 시간이 기억에 남는다. 주위는 고요했고 손에든 봉지과자는 맛있었고, 잉여로왔다.


#3.

내 여행이란 건 참 별거 없다. 생각을 정리하러 간다든가 특별한 경험을 쌓으러 가는 것도 아니다. 운이 좋으면 예상못한 좋은 인연을 만나 얘기를 듣고, 평범히 소비되는 시간을 되려 행복하게 느끼는 경험을 하러 종종 나다닌다. 어쨌든 일상에서 살짝 비켜나 즐거히 지내다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