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 함께 입사했다가 올해 1월에 그만둔 동기가 있다. 

그 친구가 이번에 우리 집 근처에 프랜차이즈 샌드위치 가게를 냈다. 

정년 퇴임한 아버지를 두고 전업주부 엄마를 둔 나는 장사를 한다든가 사업을 한다든가 하는 것에 

막연히 불안함을 가지고 있다. 몇개월 전 만났을 때에도 샌드위치 가게를 낸다는 소리에 

과연 잘될까 하는 걱정이 앞섰었다.


그리고 그건 역시나 기우였다. 무척 즐거워보였다.

비록 회사생활보다 훨씬 더 많은 시간을 가게에서 보내고 있지만, 어떻게 해나가야겠다든가 

어떤 근무환경을 만들어야겠다든가 하는 것들을 고민하는 모양이 좋아보였고, 본인도 만족한다고 했다. 


올리브를 유독 좋아하는 손님을 위해 올리브를 따로 한통 더 담아주고,

추운 아침시간에는 커피도 하나 뽑아 건내주고 한다고 했다. 

장사가 끝나는 밤 시간에 오는 손님한테는 판매하는 쿠키도 공짜로 다 나눠준다고 한다. 

그 몇푼 아껴서 뭐 하겠냐며 웃는 모습에 얼마 전에 읽었던 <장사의 신>이라는 책이 생각났다. 

그 친구는 장사를 할 줄 아는 사람이었던 모양이다. 













어쩌다 제목에 끌려서, 어디 얼마나 잘났나 보자며 읽었던 책이었는데, 꽤 재밌게 읽었다. 

아 이런 가게라면 나도 당연히 끌리겠는걸, 이라는 생각도 했고 나도 이런 가게 한번 해보고 싶은데 생각도 들었다. 

게다가 이 아저씨가 매번 맥주병 딸 줄 알고, 양배추 좀 썰줄 알면 누구나 이자카야를 열수 있다고 

꼬시는 통에 더욱 혹했다. 

책을 빌려봐서 그 문장이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지만, 이렇게 한번 장사해봐 라고 하는 말 중에 이런게 있었다. 

무더운 여름날 가게에 들어서자마자 맥주 한잔 주문한 손님이 맥주를 받자마자 한입에 숨도안쉬고 다 마셔버린 경우,

아이고 시원하게 잘도 마시네 이거 한잔 공짜로 더 드릴께라며 맥주 한잔을 더 건내는 거다. 

맥주 한잔 까짓거 얼마나 한다고 아껴봤자 소용없다고 말하는데, 맥주러버인 나도 끄덕끄덕 했다.

그래 장사 이렇게 해야지. 장사는 모름지기 푼돈 아끼지 않는 배포있는 사람이 해야하는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