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 절망, 역겨움, 공포, 불안, 우울 같은 태초의 감정은 묘하게도 노력이나 수고와 관련이 있었다. 몸을 생존으로 이끌려는 마음은, 회피하고 도망치고 반격하고 대비하는 등의 수고로움을 동반한 것들이었다. ‘수고하는 기계‘인 로봇에게 이 영역의 감정이 최초의 마음이었던 것도 같은 맥락이었다. - P31

마음의 여행이 시작되면 유희는 많은 것에서 벗어나는 자유를 느꼈다. 몸의 제약으로부터, ‘나‘라는 인식으로부터, 자신이 놓여 있는 시공간과 앞으로 펼쳐질 인생이라는 긴 미래사로부터. 그렇게 훌훌 벗어나 차원 없는 어딘가를 떠도는 그 무언가를 유희는 존재의 본질로 인식했다. 이미 완성되어 있으며 더 보탤 것 하나 없는 자아. 정답이 포함된 질문, 시작하자마자 완결되는 이야기, 늘 완전했지만 단지 오랫동안 잊고 있었던 원래 그 상태.
‘놓치고 싶지 않은데, 이 느낌.‘ - P34

빛에 대한 찬사였다. 마사로에게 저런 찬사를 받은 예술가는 얼마나 행복할까? 마사로는 아무것도 생산하지 않는 게 아니었다. 저 찬사는 분명 마사로만이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었다. - P40

"그거 꼭 계속하도록 해. 이틀 내내 하고 있던 그거. 열반, 해탈, 득도? 그것도 아니면 부처님 되는 거? 뭐라고 부르든. 지금도 내가 활동 중인 소비 로봇이고 얼마든지 쓸 수 있는 지불 수단이 있다면, 분명 네가 네 마음의 끝에 도달한 순간에 지은 행복한 표정에 돈을 내고 싶었을 거야. 그걸 직업으로 할 수 있게. 아, 이것도 사람한테는 모욕적인 말인가?" "괜찮아. 무슨 뜻으로 하는 말인지 알아" "다행이다. 그럼 됐어. 잘 가고 잘 살아. 내 걱정은 안 해도 돼. 나야 뭐 공사 재개되면 어떻게든 나갈 수 있겠지. 그림 좀 보다가 전원 내리고 자면 돼. 누가 또 깨우겠지. 중간에 깨어나서 너를 만나 즐거웠어. 나는 그거면 됐으니까 너는 너를 구해" - P4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깨달음을 얻으면 그 다음은 어떻게 되는 거지?
유희에게는 아직 페이지가 많이 남아 있었다. 삶은 영화나 드라마가 아니었다. 최종회 다음에도 삶은 계속 이어지는 법이다.
3회에 클라이맥스가 나와버려도 16회까지 드라마는 이어져야 한다. 심지어 드라마가 끝난 다음에도 사람은 삶을 살아가야 한다. 100회가 될지 1000회가 될지 모르는 긴 드라마다.
‘이 뒤에 이어질 일은 뭘까? 시시한 타락일까? 다 잊어버리고 회사 일로 복귀해서 평범하게 살아가는 결말? - P14

인간의 책임이란 사고가 발생한 다음에나 실체가 되는 개념이었다. - P15

‘너 전쟁 로봇이지? 고성능인데 기능도 거의 없고 세상을 구하도록 만들어졌다며. 거의 없지만 몇 가지 기능은 있을 거고, 그게 전쟁 아니야?"
마사로는 마치 졸고 있기라도 한 듯 느릿느릿 대답했다.
"그렇게 생산적인 일을 내가?
"생산적인가? 파괴적이지"
"그런 일 하는 회사들, 파괴를 실적으로 환산해서 돈 벌잖아. 살상은 몇 포인트, 기물 파괴는 몇 포인트 하는 식으로. 나는 파괴도 생산 못 해. 무질서 정도나 만들어낼 수 있지만 그건 온 우주가 다 하는 일이니까 생색낼 건 아니지" - P18

"인간들은 옆에서 돌아다니는 물체가 자기보다 지나치게 크면 무서워하면서 관청에 민원을 넣고, 자기보다 작으면 무의식중에 툭툭 치고 다녀. 사이즈가 표준에 미달하면 존재 자체를 인식하지 못하는 거지. 원래는 우리도 머리가 이렇게 길지 않아서 키가 지금의 반쯤 됐거든. 무해해보이려고. 그랬더니 파손이 너무 잦은 거야. 제일 쉬운 해결책이 이거였어. 머리를 이만큼 키우는 거."
"그런 게 효과가 있다고?"
"그럼! 인간은 단순하니까. - P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틸다는 포기하는 것 없이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음을 몸으로 배우며 자랐다. 그것이 마틸다의 세계에서는 지배적인 논리였다. 얼마를 기꺼어 내놓을지, 마틸다의 경우에는 말 그대로 몸의 몇 킬로그램을 포기할지 알고 있어야 했다. (<만일 네 발이 너를 범죄하게 하거든 찍어 버리라.> 그 성경 구절을 마틸다는 이해했다.) - P3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구나 좀 이상하지.」시몬은 노라를 일으키려고 노라에게 손을 내밀었다. 「너는 모든 사람의 거울이 되려고 신경 쓰는게 문제야. 그건 네가 할 일이 아냐.」 - P2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려움이란 건 잘 알지 못해서 생기는 거야.
어두운 숲속 괴물같이 보이는 나무도 빛에 비춰 보면 그저 나뭇잎이 붙어 있을 뿐인 것처럼 말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