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거 게임 헝거 게임 시리즈 1
수잔 콜린스 지음, 이원열 옮김 / 북폴리오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이 출간된 직후부터 지금까지 독자들의 입소문에 의해 인기를 더해가고 있는 책이다. 이미 시리즈 3부작까지 소장만 하고 읽기를 더디하고 있었지만 내일 모레 곧 영화로 개봉된다고 하니 기대하는 마음으로 읽어 내려간다. 이 책은 헝거게임의 3부작인 첫 번째 이야기 <헝거게임>이다. 차마 눈으로 읽기에 힘들 수 있는 소재지만 생사의 갈림길에 서 있는 주인공의 시선을 따라간다

 

12번 구역....경계라 불리우기도 하고 안전하게 굶어 죽을 수 있는 곳, 이 곳에 우리의 여주인공인 캣니스가 엄마와 동생인 프림과 살고 있다. 아버지를 탄광촌 폭발 사고로 잃은 후 가장의 역할을 하고 있는 캣니스는 게일과 함께 금지된 숲에 들어가 먹을 것을 구하며 하루하루 살아간다. 12번 구역의 사람들은 항상 부족한 식량으로 인해 생사의 갈림길에 놓여 있다. 하지만 아사보다 더 큰 죽음의 공포는 다름아닌 헝거게임에 출전할 사람들 중에 뽑혀지는 것이다. 결국 헝거게임은 죽음이라는 공식이 성립한다고도 말할 수 있겠다.

 

헝거게임의 규칙을 잠깐 설명하자면 열 두 구역의 소년과 소녀 한명씩 총 24명을 선발해서 야외 경기장에 가두고 그 안에서 마지막 한 사람이 살아남을 때까지 서로 죽여야 한다. 그 모습을 모든 구역의 사람들이 TV로 시청하게 된다.

만 열두살이 되면 헝거게임에 출전 할 아이들을 추첨을 통해 뽑는다. 하지만 이 추첨도 가난한 자들에게 있어서는 불리할 수 밖에 없다. 가난도 서러운데 자신들의 아이들이 죽어가는 모습을 TV화면으로 지켜보는 가족들의 맘은 어쩌겠는가! 실로 이런 일이 소설이기에 그나마 안도감이 든다.

 

그렇게 기도하고 또 기도했건만 선발된 소녀의 이름이 자신이 사랑하는 동생 프림이라니....캣니스는 자신도 모르게 동생 대신 자원하는 용기를 보여준다. 그리고 선발된 소년은 빵집 아들인 피타 멜리크다. 사실 피타는 캣니스가 굶어 죽기 직전에 일부러 빵을 태워 자신에게 던져 주었던 희망을 준 아이이다. 참 지지리도 운이 없다고 생각하는 캣니스..! 하지만 살아남아야 한다.

 

"살아남아라"(P145)

 

권력이 있는 자들은 약자에게 관대할 것 같지만 더 혹독하다. 자신의 나라에 반항했다는 과거의 사실을 상기시키기 위해 매년 헝거게임을 개최하고 시청한다. 아마 상상도 못할 스토리에 입을 다물지 못하고 그저 "살아남아라"라는 응원만 보낼 뿐임을 읽는 독자들은 공감할 것이다. 스토리가 진행되면 될수록 숨죽일 수 밖에 없음을...권력의 힘 앞에서 나약해진 자신들이 이리저리 휘둘릴 수 밖에 없음을... 그러고 보면 옛날 로마시대의 원형 경기장을 연상케 한다. 피도 눈물도 없는 권력자들은 즐거운 영화 한 장면을 보듯이 좀 더 강한 임펙트를 요구하며 자신들의 힘을 과시한다.

 

츠츠이 야스타카의 <인구조절구역> 에서는 고령화 되어가는 노인들의 수를 줄여보고자 노인들을 베틀에 참가시켜 서로 죽임으로 인구를 조절한다는 블랙유머의 형식을 취했고 마지막 페이지를 넘길 때까지 마음이 많이 불편했던 반면에 <헝거게임>에서는 아직 미성년자인 아이들이 생존을 놓고 서로를 죽여야 하는 상황이라는 설정이 섬뜻하지만 그 섬뜻함을 감해주는 로맨스나 인간미가 들어 있어서 그리 처절하거나 끔찍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누구나 공감하겠지만 이 책은 한번 잡기 시작하면 쉬이 놓을 수 없는 긴장감과 빠른 스피드로 독자들의 눈을 사로잡는다. 캣니스를 통해 죽음의 공포 속에서도 사람에 대한 애정과 신뢰, 그리고 희망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어떤 상황에서도 내 자신은 누구의 소속도 아닌 오롯이 자신만의 것임을 말이다.

벌써 그 다음 이야기가 궁금해진다. 2부인 <캣칭 파이어>에서는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