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kg의 수수께끼 - 인간의 뇌, 그 미스터리를 풀기 위해 떠나는 여행
섀넌 모페트 지음, 신두석 옮김 / 거름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뇌는 우리 사람 체중의 2퍼센트(1.4Kg)를 차지한다고 한다. 그런데 우리가 사용하는 에너지의 20퍼센트를 뇌가 사용한다고 하니, 다른 장기들이 생각할 수 있다면 뇌를 욕심장이라고 할 것이다. 그렇다면 뇌는 그 많은 에너지를 어디에다 쓰는 것일까?


우리가 흔히 상식적으로 생각할 때에 뇌의 기능 중 가장 중요하는 것으로 기억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무엇을 기억할까? 외부 환경으로부터 전해오는 감각을 기억할 것이다. 뇌는 눈으로부터 전해오는 시각, 코로 전해지는 후각, 청각, 촉각, 미각으로부터 정보를 받아서 그를 기억함으로써 우리의 생존과 번식에 기여하는 것이다.


또한 뇌는 우리가 언어를 습득할 수 있게 해주고, 생각하게 하며, 나를 나라고 인식하고, 또한 타자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뇌가 어떻게 작용하고 뇌의 어떤 부분에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풀리지 않은 점이 많다.


<1.4kg의 수수께끼>(거름.2007년)는 이런 뇌에 관한 수수께끼들을 하나씩 제시하고, 그 방면의 전문가들을 좇아 해답을 구하고 있다. 또한 우리가 지금 하고 있는 생각과 모든 욕망, 그리고 모든 경험이 뉴런이나 신경전달물질들의 작용, 즉 화학 작용에 불과한 것인가에 관한 문제, 의식과 마음에 관한 온갖 수수께끼 등을 흥미롭게 풀어간다.


저자인 섀넌 모페트(Shannon Moffet)는 의대학생시절 해부학시간에 죽은 사람의 뇌를 보고는 단순한 조직 덩어리인 뇌가 마음이나 사고와 감정을 만들어내는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며, 그 결과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로버타 그릭 박사를 찾아간 저자는 뇌에 대해 기본적인 정보를 배운다. 또 신경과학자인 크리스토프 박사를 찾아가 개개의 뉴런을 추적하며 의식을 암호를 깨는 연구를 들여 다 본다. 마지막으로는 노먼 피셔라는 선승(禪僧)을 찾아가기 까지 한다. 이런 여정 끝에 저자는 뇌의 모든 것을 밝혀냈을까?


우리 몸에서 가장 복잡한 부분인 뇌는 30억년의 생명 진화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그 장구한 기간 동안 자연선택에 의해 진화해온 뇌의 비밀이 쉽게 밝혀질리 없다. 뇌의 비밀을 밝혀내기에는 우리의 과학은 아직도 먼길을 더 가야할 것이다. 아니 영원히 뇌는 자신의 비밀을 감추고 있을 지도 모른다.

다만 조금씩, 아주 조금씩 자신의 속살을 인간의 과학에게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뇌의 미스터리를 풀기위한 저자의 여정은 인간 지식의 한계를 극명하게 느끼게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