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시간, 책 쓰기의 힘 - 성공한 사람들이 절대 알려주지 않는 진짜 자기계발
이혁백 지음 / 레드베어 / 201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하루1시간, 책 쓰기의 힘



자신의 인생을 절대로 얕보지 마라. 활자로 펼쳐져 책 한 권에 실리는 순간, 평범했던 인생에 놀라운 변화가 시작된다.




책을 쓴다는 것은 자신의 인생을 대단한 업적으로 채워 온 사람들만이 할 수 있는 일종의 특권이라 생각했었다.

내게 한 권의 책을 쓴다는 것은, 어떤 분야에 특출한 재능이 있어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충분한 동기부여가 되는 사람이어야만 가능한 것이었다. 하지만 마음 속에는 늘 나도 내 이야기가 담긴 책 한 권을 가져보고 싶다는 꿈을 꾸고 있었다. 언제가 되더라도 꼭 이루고 싶은 하나의 소망으로만 여겨왔는데 <하루1시간, 책 쓰기의 힘>이란 책을 통해 불가능한 꿈만은 아니란 생각을 어렴풋이나마 할 수 있게 됐다.


책은 누구든 자신의 이야기를 책으로 써낼 수 있으며 책쓰기를 통해 성공한 사람이 될 수 있고 자신의 인생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한다. 공무원이란 직업을 갖고 자신에게 주어진 업무와 일상을 살아온 책의 저자는 새로운 꿈에 도전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출판 전문가의 삶을 개척해나가고 있다. 그는 책의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사람이 하루1시간 책 쓰기를 통해 작가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책 속에는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의 저서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책 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하고, 평범한 삶을 살아 온 사람들이 쓴 한 권의 책으로 달라진 인생에 관한 이야기도 담겨있다.

직장을 다니면서 어학공부를 하고 각종 자격증 취득을 위해 바쁘게 사는 사람들의 모습을 이야기 하면서 진정한 자기계발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하게 하기도 한다. 자기계발을 위해 시작한 일이 업무 외의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하기도 하고 즐거워야 할 시간들이 오히려 '지금 왜 이렇게 하고 있나'하는 서글픈 반문을 하게 하기도 한다고 하면서.



살아가는 일에 정답은 없고 흘러가는 일에 후회가 없을 수는 없는 것 같다.

저자는 책 쓰기에 앞서 정말 내가 좋아하고 잘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찾으라 조언한다.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을 찾다보면 평범하게 사는 삶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자신만의 재능이 있다는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질문했다. 내가 정말 좋아하는 것, 그리고 잘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하고.

어떻게 하면 후회가 덜 남는 삶을 살 수 있을까 하는 고민도 해보았다.




한 권의 책으로 내 삶의 전부가 바뀔 수는 없겠지만 하루1시간의 힘은 믿어보기로 했다.

전업주부의 일상을 살아가는 내가 당장 '육아는 이렇게 하는 것이다'거나 '살림노하우' 같은 책을 쓸 수는 없겠지만 나의 하루 이야기를 담은 간단한 일기라도 써보려고 한다. 

많은 책을 읽지는 못하지만 하루의 일부분을 책 읽는 시간에 투자하는 나의 하루에 감사해보기도 하고 이런 책을 마주하게 된 것도 하나의 기회라고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