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위만 같아라 - 우리 문화이야기 (명절, 추석) 노란돼지 창작그림책 32
무돌 글.그림 / 노란돼지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가위만 같아라]

추석이 다가오자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가 추석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달라고 했다.

유치원에서 한복 입고 강강술래도 하고 송편만들기도 했다면서

'한가위'에 대해 많이 궁금해 했다.

아이와 함께 추석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예전 한가위는 어떻게 보냈는지 추석에는 무엇을 하는 것인지

자세히 알려주고 싶었다.

일 년 중 가장 밝고 둥근 달이 뜨는 추석 답게

표지도 둥근 보름달이 인상적이다.

 

책은 '신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임금님이 공주들을 불러 길쌈(여자들이 실을 내어 베, 모시, 명주, 무명 같은 옷감을 짜는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 내기를 시작하라고 한다.

​동생 달빛공주는 게으름을 피워 자손들이 사는 곳으로 보내진다. 


​달빛공주는 신라에서 아주 먼 지금의 대한민국으로 오게 되고,

추석을 맞아 벌초를 하는 가족들과 만난다.

감나무 집 가족들은 추석 전날이라 친척들이 한 자리에 모여 송편도 빚고

전도 부치고 고기도 삶고 명절 분위기를 즐긴다.

추석날 아침에는 햅쌀과 햇과일로 차례상도 차리고 한복을 입고 조상님께

인사를 올리기도 한다.

풍물놀이와 강강술래도 함께 하면서 달빛공주는 '함께 하는 즐거움'에 대해서 알게 된다.

 

보름달을 보면서 소원도 빌고 즐거운 시간을 가지게 된 달빛공주,

햇살공주가 깨우는 소리에 일어나 보니 다시 신라로 돌아와 있다.

자신의 일상으로 돌아 온 달빛공주는 아랫마을 아낙들과

열심히 길쌈을 하고 음식도 만들어 베풀었다.

보름달을 보면서 대한민국에 살고 있을 감나무 집 가족들이 행복한

한가위를 보낼 수 있도록 빌었다.

책의 끝에는 추석에 대한 이야기를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었다.

추석은 언제부터 생겨났는지, 어떤 날 인지,

추석에서 무엇을 하며 놀고 무엇을 먹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

아이에게 추석에 관한 이야기를 부족함 없이 해줄 수 있게 정리가 잘 되어 있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