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똥통에 풍덩 ㅣ 이야기 별사탕 5
원유순 글, 김동영 그림 / 키다리 / 2015년 6월
평점 :
시댁에 갔다가 푸세식 화장실을 보고 깜짝 놀라는 아이의 모습을 발견했다.
나 어릴적엔 푸세식 화장실이 흔했는데 요즘은 정갈한 양변기가 대부분이니 아이가 놀랄만도 하다 싶었다.
아직도 농촌에서는 집안에 있는 양변기 화장실 대신 집 밖에 푸세식 화장실이 있는 집들이 종종 있는데 나도 편리함에 익숙해지다보니
이용하기가 쉽지는 않다.
책 [똥통에 풍덩]은 1970~1980년대의 생활모습을 배경으로, 특히 푸세식 화장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내가 학교에 입학했을 때만 해도 푸세식 화장실이었는데 고학년이 될 즈음 양변기가 들어선 화장실이 생겼었다.
그러고 보니 나는 마지막 '국민학교 세대'였던 것.
책을 보면서 당시의 학교 모습과 지금의 학교는 많이 변했구나 싶었다. 지금과 다른 예전의 모습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는 생각에
아이보다 내가 더 흥미롭게 책장을 펼칠 수 있었던 것 같다.
책의 첫 페이지에는 환경미화 심사때문에 열심히 청소하는 아이들의 모습이 나온다.
남자아이들은 교실 바닥을, 여자아이들은 유리창을 청소하기로 했는데 남자아이들이 청소는 하지 않고 교실 바닥에서 미끄럼을 타는 바람에
여자아이들이 잔뜩 화가 났다.
이윽고 선생님이 들어오시고 남자아이들은 푸세식 화장실을 청소하는 벌을 받는다.
여자아이들의 고자질 때문에 냄새나는 푸세식 화장실 청소를 하게 됐다고 생각한 아이들은 친구들을 골탕먹이기로 결심한다.
긴 막대 끝을 똥 무더기 속으로 집어넣어 한 사람당 하나씩 들고 여자화장실 문안에서 기다리는 아이들.
누군가가 화장실 문을 열자, 아이는 막대기를 힘껏 들이미는데...같은 반 여자친구들이 아니라 공주처럼 예쁜 일학년 선생님이었던 것.
선생님도 놀라고 골탕먹이기로 했던 아이도 놀라 도망을 가다 새로 산 운동화가 푸세식 화장실 속으로 빠져버리게 된다.
놀라고 서러운 마음에 아이는 엉엉 운다.
아이의 파란 새 운동화는 담임선생님과 일학년 선생님의 도움으로 무사히 건져내고 이야기는 마무리 된다.
앞으로 내 아이가 다니게 될 학교의 모습은 책 속의 모습과 많이 다르다.
지금 학교는 삐걱거리던 나무의자 대신 깔끔하고 튼튼한 의자에, 푸세식 화장실이 아닌 양변기가 줄을 맞춰 들어선 화장실, 수돗가도 펌프질이
아닌 꼭지만 돌리면 시원하고 깨끗한 물이 콸콸 쏟아져나온다. 나도 펌프질 세대는 아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바뀌는 건 사람의 모습 뿐만이
아닌가보다.
[똥통에 풍덩] 책을 읽으면서 지금과 달라진 예전의 모습에 대해서도 이야기해볼 수 있는 귀한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새로운 것이 편리한 점은 분명 있지만 그렇다고 오래된 것이 꼭 불편하고 나쁜 것만은 아니니 아이에게도 '나 어릴적' 모습을 설명해줄 수
있어서 좋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721/pimg_760391195124397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