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 읽어주는 엄마, 철학하는 아이
제나 모어 론 지음, 강도은 옮김 / 한권의책 / 2013년 5월
평점 :
품절


우리 아이의 생각과 감수성에 날개를 달아주는 첫 번째 철학 시간

 

아이와 함께 그림책을 읽는 시간이 많아졌다.

그만큼 아이의 호기심이 왕성해지고 아이의 생각이 자라고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아이의 마음속에는 철학자가 산다

상상하고 이야기 하고 질문하고 귀 기울이는 엄마와의 철학 시간

 

사실...철학이라고 하면 대학교 교양수업에서나 들어봄직할 만큼 낯설고 조금 어렵게 느껴진다. 학문적인 것도 같고

뭔가 깊게 파고들기에는 내가 아는 부분들이 너무 얕은 지식 같아서...

[그림책 읽어주는 엄마 철학하는 아이]는 아이와 함께 그림책 읽는 시간을 어떻게 하면 조금 더 의미있고 알차게 보낼 수 있을까 해서

읽게 된 책이다.

그림책을 읽는 것이 아이의 철학적 사고에 관여한다는 점은 사실 좀 놀랍기도 했다.

책과 마주하면서, 그림책을 읽던 아이가 무심코 던지는 말 속에서 나는 어떤 해답을 찾고 정의를 내리려고 하고 있음을 알아차렸다.

그렇게 머리를 굴리는 동안, 아이는 '철학'적 사고에서 점점 벗어나고 있었구나 싶었다.

 

책 속에서는 우주가 팽창해서 우울하다고 말하는 아이의 사례가 나온다. 우주가 계속 팽창하면 풍성처럼 터져버릴 것만 같고 모든 것이 끝나버릴 것만 같아 두렵다고 아이는 걱정한다. 하지만 엄마는 그게 네가 걱정할 일이냐고 심드렁하게 이야기한다.

아이가 재잘대는 이야기들을 은근히 깔보는 태도로 웃어 넘길 때가 종종있다.

원래 그렇다는 둥,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둥... 아이의 이야기에 조금 더 관심을 기울여주고 해답을 찾는 대신 함께 이해하고 공감해 주는 것,

문득 대화의 기술이 떠올랐다. 유명한 철학자도 모든 것의 출발은 이해하는 것에서 부터라고 했다고 한다.

그림책은 나를 위해서가 아니라 아이를 위해서 읽어준다는 생각으로 줄곧 읽어주고 있었던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앞으로 아이와 함께 하는 독서시간에는 나도 아이도 조금 더 즐거워 할 수 있고 새롭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마주해보려고 한다. 그리고 무턱대로 정의를 내리기 보다는 아이의 어설프나마 이야기를 들어주고 함께 고개를 끄덕이면서 공감해야 한다는 점도

기억하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