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므로 떠남은 언제나 옳다 소희와 JB, 사람을 만나다 남미편 2
오소희 지음 / 북하우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러므로 떠남은 언제나 옳다_

 

아이의 엄마가 되고 나서 부터, 늘 나는 아이와의 여행을 꿈꾼다.

아장아장 걷던 아이가 곧잘 뛰게 되고 나서 부터 꿈은 현실로 내 앞에 성큼 다가오는 것만 같다.

 

<그러므로 떠남은 언제나 옳다>책은 엄마와 아이가 함께 하는 여행기를 닮은 책이다.

나의 바람처럼, 수많은 엄마들의 로망처럼 책 속에는 아이의 웃음소리가, 아이의 눈물이, 아이가 여행을 통해 성장하는 과정이 글로, 사진으로 여백없이 채워진 느낌이다.

 

콜롬비아, 에콰도르, 칠레, 볼리비아 남미 여행의 소소하고 일상적인 부분이 책속에 녹아있다.

아이와 함께 패러글라이딩을 하고 아이의 비명 소리 속에 깃든 행복의 충만함을 보고 있노라면, 나도 그런 엄마이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해진다.

콜럼비아의 엘 페뇬의 모습은 정말 이색적이고 멋스런 자연 그대로였다. 책 속 사진으로만 보고 있기엔 너무 아깝지만 저자의 아들인 중빈의 말 또한 참 인상적이었다. 계단을 세지말고 풍경을 보라는 엄마의 말에 아이는, 맨 꼭대기에 올라서 깜짝 놀라고싶다고 말한다.

아이에게 그런 생각, 그런 말을 선물해준건 수많은 여행으로 인한 경험이었으리라.

 

 

 

 

풍요로운 삶이란, 결국 금으로 가득한 금고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진흙 자국 같은 인연의 따뜻한 흔적들로 가득한 앨범을 하나 지니는 일일 것이다. 그래서 그 앨범을 펼칠 때마다 행복해지는 삶일 것이다

 

 

나는 사막의 바람은 거칠다는 생각은 해본 적이 없다.

사막이니까 사막이 주는 느낌만 상상해봤을 뿐.

낮엔 아주 덥고 밤엔 한기가 들고 물이 귀하고 모래바람이 날려서 끝이 없는 그런 광활한 대지?

 

사막에서 눈부신 햇살을 마주하고 있으면 그것이 곧 길이 된다는 것을 나는 책을 읽으면서 이해했다.

그리고 사막은 그 광포함으로 부터 그것을 지키는 자에게 지혜를 선사한다는 지은이의 말 또한...

아이 또한 사막에서 많은 지혜와 배움을 보고 느끼고 생각했을 것이다.

날개가 부러진 플라밍고가 누워서 죽음을 기다리고 있을 때, 체념이 빠른 어른들과는 달리 한참동안이나 곁을 떠나지 않았던 아이도 나와같은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밤의 지독한 차가움과 낮의 광활한 뜨거움이 공존하는 사막, 모래바람이 일고 갈증에 굴하지 않기 위해선 나름의 법칙이 있는거구나'하고 말이다.

 

 

<그러므로 떠남은 언제나 옳다>

때론 유쾌했고 슬펐고 지극히 공감이 갔다.

나도 책 속 그녀도, 그리고 그녀가 만난 사람들도 모두 누군가의 엄마였으니까.

삶을 살다보면 어떠한 이유로 놓치고 지내는 일들이 참 많다.

여행에서 돌아오면 낡은 차가 그리도 좋아보일 수 없다는 저자의 말처럼 나 또한 조금은 비워내는 연습을 해야겠다.

비워낸 부분은 반드시 아이와 함께 또 다른 무언가로 채우자 다짐하면서 말이다.

 

나도 꿈꾼다.

떠남은 언제나 옳다는 그녀의 말처럼, 아이와 함께 낯선 곳에서 익숙한 듯한 식사를 해보고 그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새로운 풍경 속에서 자연스럽게 동화되는 상상을...

 

그러므로 떠남은 언제나 옳은 것이고 떠나기 위해 비워내는 것 또한 옮은 일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