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식 이야기
베르나르 키리니 지음, 임호경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발칙하나 밉지 않은 <육식 이야기>_

 

읽어보면 절대 후회하지 않을 것이라던 <육식 이야기>는 손에 닿기 전부터 꽤 궁금증을 유발했던 책이다.
어떤 내용이 담긴 책이길래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일까.
대게 읽을 책을 선택하는 기준이 되어버리는 몇 가지 이유는 이런 궁금증 때문인 것도 같다.

이 책은 14개의 각기 다른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야기 속에는 유독 '피에르 굴드'란 사람이 자주 등장한다.
그는 시인 노르주의 시 두 행을 자신의 좌우명으로 삼으며 머리카락은 여러 해 동안 나뭇잎의 운명에 따라 변하는 계절성을 띈다. 또 여자를 사랑하게 되면 아무말도 하지 못하는 소심한 사람이다.
책을 읽고 있다보면 은연 중에 그가 등장하기도 하고 그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흘러가기도 한다. 그래서 이따금씩 피에르 굴드를 찾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기란 어려운 일이 아닌 것 같다.

소설 속 캐릭터들은 마치 처음부터 각인되기 위해 만들어진 것만 같다.
오렌지 주스에 유리 앰플 끝을 깨어 액체를 섞어 마시는 남자_
그 유리 앰플 속에 들어 있던 액체는 우리가 상상하는 맑고 투명한 것이 아닌, 붉고 끈적한 피다.
온몸이 귤 껍질로 쌓여있는 여자와 사랑을 나눈 그가 그녀의 부탁으로 온몸을 감싸고 있는 오렌지 주스같은 액체를 마신다는 광기어린 이야기는 어긋난 세계의 끝자락을 표현하는 것만 같다.
그밖에도 책은, 독자들에게 상상 그 이상의 소재로 쓰여진 이야기와 마주하게 한다.
두 개의 몸을 가진 주교의 영혼 체인지나 네 명의 여자를 동시에 사랑하면서 사랑 시간표에 짜여진 삶을 사는 남자 이야기, 파리지옥에 집착한 어느 식물학자의 죽음에 관한 이야기까지_

<육식 이야기>는 '이해'하기 전에 단숨에 읽어 버리게 되는 책이다. 
낯설지만 매력적이고 감히 상상할 수 없다고 생각하나 어딘가 모르게 친숙한, 음험하지만 날카로워서 우아한 빛을 발산한다.
책을 읽다보면 기발한 소재에 눈살을 찌푸리기 보다는 자꾸만 엄지 손가락을 치켜 올리게 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리라.

나는 문학을 좋아하지만 문학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더욱이 문학상의 의미도 종류도 잘 알지 못하지만 이 책을 덮고 난 후, 벨기에 최고의 문학상인 빅토르 로셀 상 수상작이라는 점이 자꾸만 뇌리에 스치는 느낌이었다.

처음 책을 앞에 두고서는 선뜻 펼칠 수 없을 만큼 잔인하게 느껴지던 제목 덕에 고사 하기도 했지만 이 작가만의 표현력 넘치는 문장과 소재는 파격적이었으며 흥미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