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실 밖 아이들 책으로 만나다 - 스물여덟 명의 아이들과 함께 쓴 희망교육에세이
고정원 지음 / 리더스가이드 / 2010년 12월
평점 :
한 권의 책이, 이름 모를 음악이, 낯선 여행지가 우리에게는 때론 예기치 않은 '위로'가 되기도 한다.
상처 주고 받으면서, 때때로 아파하기도 하면서 우리는 주어진 스스로의 삶을 살아가기에 위로는 누구에게나 필요한 것이리라 생각한다.
내가 만난 책 <교실 밖 아이들 책으로 만나다>는 중학교에서 지역사회교육전문가라는 이름으로 책과 함께 살아가는 고정원 선생님과 제자들의 이야기다.
책 속에서 만난 아이들은 주변의 시선으로 보면 하나 같이 '문제아'다.
그들은 노는 아이, 선생님의 말을 듣지 않는 아이, 가출을 일삼는 아이, 아이들의 돈을 뺏고 학교에 잘 나오지 않는 소위 '못된 아이'다.
하지만 그들의 못됨이 엄마의 가출, 아버지의 폭력, 대물림되는 가난 등등의 아픔 때문에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만약 내 어린시절이 그러했다면, 스스로도 용납되지 않을 만큼 불행했다면 나는 지금의 밝은 얼굴을 가질 수 있었을까. 조심스레 생각해보았다.
책의 저자인 고정원 선생님은 삶의 열병을 앓고 있는 제자들에게 조심스레 다가가 이야기를 들어주고 상처를 책을 통해 위로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전한다.
그녀의 목소리를 통해 아이들은 위로를 받고 새로운 꿈을 꾸고 희망을 발견한다.
물론 그 과정에서 중도 포기하는 아이들도 있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아이도 있었다. 하지만 내가 이 책 속에서 발견한 것은 여린 아이들의 갈기갈기 헤진 마음이었다.
그리고 책을 통해 조금씩 달라져가는 아이들의 모습이었다.
아이들을 만나면서 청소년기 아픔 하나 없는 아이들은 없다는 생각을 했다. 그 아픔이 크든 작든 아이들에게는 이야기를 들어 줄 누군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p.118
누구에게나 시련은 두렵고 낯설고 도망가고 싶은 현실이 된다.
또한 오늘을 사는 우리는 자신이 짊어진 슬픔이 세상에서 가장 크고 아픈 상처라고 생각하는 습성이 있다고 한다.
한창 삶의 과도기를 겪는 청소년기에 들어선 아이들의 마음은 더 그러하리라 짐작이 된다.
책 속에서 만난 아이들은 저마다의 아픔들을 간직한 채, 스스로에게까지 학대를 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그들의 이야기를 보면서 문득, 아이들의 행동이 옳고 그른 것을 판단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옳고 그른 것의 차이를 애써 외면해버린 것은 아닐까. 생각했다.
자신이 처한 현실이 너무 싫고 벗어날 방법을 찾지 못해서 주저않아 버리고 희망을 져버린 아이들의 이야기를 마주할 때면 내 마음도 먹먹해져왔다.
하지만 삶의 멘토로 삼을 만큼 마음을 나누고 아픔을 나눌 선생님의 존재를 느낄때면 나도 모르게 웃음이 베어나오기도 했다.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했던, 받아보지 못했던, 관심과 사랑을 나눠주던 선생님의 존재가 어쩌면 아주 낯설지만 놓고 싶지 않은 희망의 끈이었을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이 책과 조우하면서 아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줄 알고, 소통할 줄 아는 선생님이 있어 나의 겨울도 참 따뜻해지는 느낌이었다.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 외로운 시간을 보내는 아이들에게 미소를 주고 희망을 전해주는 그녀의 이야기가 고마웠다. 앞으로 더 많은 아이들이 그녀가 권해주는 책을 통해 조금은 더 꿈꿀 수 있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