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의 문장들 청춘의 문장들
김연수 지음 / 마음산책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청춘’이란 말은 ‘열정’이란 말과 닮았다. 그래서인지 내게 ‘청춘’이란 말은 자꾸만 들어도 좋은 단어다. 하지만 좋은 것은 잃기 쉽다. 잊거나 잃거나.
젊음은 인식 할 수 없는 찰나처럼 빨리지나가 버린다. 한 번씩 스무 살의 내 모습을 떠올릴 때면 나이가 들었다는 것을 조심스럽게 실감하게 된다. 
 

<청춘의 문장들>은 <세계의 끝 여자친구>란 책으로 좋아하게 된 김연수 작가의 젊은 날을 사로잡은 문장이 담긴 책이다. 나는 이 책을 통해서 작가의 어린 시절 이야기와 작가를 꿈꾸던 시절의 모습들을 알게 됐다. 그리고 내가 알지 못했던 책과 문장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방황하던 작가의 젊은 날을 함께 해 준 문장들을 통해서 나 또한 잊고 지냈던 치기어린 내 모습들을 발견하게 된 것 같다.

내가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가장 좋아했던 글귀는 <날씨가 너무 좋아요>란 에세이 집 속에 있던 글이었다.
"세상사는 일이 고달프다는 생각이 들 때마다, 한 사흘 감기나 앓았으면 싶을 때가 있다.
이불 푹 뒤집어쓰고 아무 생각 없이 끙끙 앓는 기분도 괜찮은 법이다.
앓고 난 뒤에 조금쯤 퀭하니 커진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살아 있는 일이 그래도 행복한 거라는 기특한 생각이 드는 것이다."

반짝반짝 빛나는 미래만을 상상했던 내게 현실은 어두침침한 구름 속 같았다. 내가 하고 싶은 일과 해야 할 일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됐을 때, 나는 세상 밖으로 나가는 것이 두려웠다.
평범하게 산다는 것이 두려웠고 끝까지 꿈을 꾸는 사람으로 남고 싶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의 나는 많이 어렸고, 아는 것이 적었고, 세상을 참 몰랐던 것 같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만났던 몇 명의 고마운 사람들 덕분에 조금씩 어른이 될 준비를 시작했다. 그리고 읽었던 얼마 되지 않은 책 속에서 만났던 문장들, 나도 모르게 힘을 준 글귀들이 있었다는 것을 이 책을 읽으면서 새로이 알게 됐다. 

인생이란 취하고 또 취해 자고 일어났는데도 아직 해가 지지 않는 여름날 같은 것. 꿈꾸다 깨어나면 또 여기, 한 발자국도 벗어날 수 없는 곳. p.164

어디에선가 김연수 작가에게 왜 소설가가 되었냐는 질문에 대한 답을 들었던 적이 있었다. 그는 한 번도 글 쓰는 것에 재주가 있다는 것은 생각해보지 못했었다고 말했다.
다만 시간이 많아서 글을 썼고 자신이 쓴 글이 하나의 소설로 완성이 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큰 힘이 되었다고 했다.

책 속에서 스무 살의 그는 천문학과를 꿈꾸던 평범한 학생이었다. 하지만 입시에서 떨어지고 재수를 결심했을 때 우연히 한 시인을 만나게 된다. 3년 정도 그와 함께 지내면서 여러 곳을 여행했고 수많은 광경과 소리를 들었다. 하지만 그가 배우게 된 가장 큰 것은 자신이 어떤 사람일 수 있는지를 알게 된 것이라고 했다.
자신 안에도 많은 빛이 숨어 있다는 것, 지금은 그 빛의 일부만이 반짝이고 있다는 것을 스스로 알게 된 것이라고. 
 

꽃 시절이 모두 지나고 나면 봄빛이 사라졌음을 알게 된다. 천만 조각 흩날리고 낙화도 바닥나면 우리가 살았던 곳이 과연 어디였는지 깨닫게 된다. 청춘은 그렇게 한두 조각 꽃잎을 떨구면서 가버렸다, 이미 져버린 꽃을 다시 살릴 수만 있다면 그 시절로 돌아가고 싶다. p.132 

<청춘의 문장들>속 작가의 이야기는 ‘젊음’이란 이름을 가졌던 사람, 가지게 될 사람 누구나 겪었을, 또 겪어야 할 이야기 같았다.  

방황하고 혼란스러워하면서도 무언가를 통해 힘을 얻게 되는 것. 그래서 사람들은 괴롭다고 하면서도 오늘을 살고 내일을 꿈꾸는 것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