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여기가 좋다
한창훈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1월
평점 :
나는 왜 진작에 그의 책을 읽어보지 못했을까?
이.제.서.야 알게 된 그의 글들이 내게 큰 파도를 몰고온다.
한창훈 작가의 이야기는 고향을 닮았다.
바다가 고향인 나는 그의 글에서 비릿한 어촌 냄새를 맡았고, 하얗게 부서지는 파도의 움직임을 떠올렸다.
한창훈 작가를 알게 해 준 계기를 마련한 <나는 여기가 좋다>는 단편소설들로 구성되어 있다.
약간씩은 다른 주제와 주인공들의 성격도, 이름도 다르지만 그들은 하나 같다.
드넓은 바다의 파도와 바위 사이 고여있는 파도가 하나이 듯, 그렇게 닮아있다.
'올라인 네코'
그의 글을 읽다보니 자꾸만 주문처럼 옹알거림을 시도하고 있다.
'올라인 네코-모든 것을 걷어내 버려라.'
육지에 있는 것보다 바다 위에서 있는 시간이 더 많은 노총각 그는 다방에서 커피를 배달하는 그녀를 좋아하게 된다. 총각은 그녀를 사랑한다고 말한다. 이해할 수 없는 그녀와 이해가지 않는 나는 '사랑'에 대해 좀 더 솔직하게, 좀 더 깊게, 생각해 본다.
모든 것을 걷어내 버려라고 우스갯소리로 하는 그의 말은 수많은 뜻을 담고만 있는 것 같다.
어부의 삶을 사는 아빠는 배질하기 전, "모야 줄 좀 풀어라."는 말을 하신다.
모야 줄을 풀면 아빠의 일과는 시작되는 것이다. 배와 부두를 잇는 밧줄인 모야줄을 풀어야만 땅과 바다는 분리가 된다.
바다 위에 떠 있던 배는 모야줄을 푸는 동시에 자유로워 진다.
올라인 네코는 배가 바다와 하나 인 것 처럼 그와 그녀가 하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올라인 네코'는 '모야 줄 좀 풀어라' 하시던 아빠의 그 목소리 인 것만 같다.
어촌이 고향인 내가 어릴적 가장 두려워했던 말은 "부모님 말 않듣는 것들은 커서 오징어 잡이를 시킨다."는 말이었다.
어린 내 눈에 비친 부모님들의 삶은 고단했고 높은 파도를 헤치고 작업을 나가는 아빠의 배는 위태로워 보였다. 그래서 나는 절대로 오징어 잡이 배를 타서는 안되며 미래의 남편감 역시 어부는 절대로 안되겠다고 생각했다.
배를 탄다는 것은 바다와 하나 임을 뜻하기도 하지만, 어부의 삶을 산다는 것은 늘 흔들리는 겁에 질린 자의 눈빛 같았다. 높은 파도 앞에서는 한 없이 나약해질 수 밖에 없었기에.
아빠는 바다 위에 있을 때 숨통이 트인다.는 말을 자주 하셨다. 자신에게 아무것도 원하지 않는 바다에서 당신은 각 종 물고기를 낚으며 자식을 키웠다.
서정주 시인은 '나를 키운 건 팔할의 바람이었다.'고 했지만 나를 키운 것은 바다였다.
모든 것을 삼킬 듯 거센 폭풍의 바다도, 아무 것도 흘려보내지 못할 것만 같던 잔잔한 바다도 모두 내 꿈이었고, 아빠의 현실이었다.
낚는 고기의 양에 울고 웃어야 했던 아빠의 삶이, 자꾸만 커 가는 자식들 앞에 놓여진 숙명만 같았다.
책은 바다와 함께 사는 사람들의 삶을 담고 있다.
바다를 품고 사는 우리 아빠와 같은 삶을 사는 이들의 이야기가 나오고, 그들의 삶 속에서 보지 못한 아빠의 삶과 조우해보기도 한다.
누군가는 자꾸만 줄어드는 어획량에, 빚에 못이겨 평생을 함께 한 자식같은 배를 팔고 뭍으로 나가기도 한다. 소설 속 아내 조차도 가족의 밥벌이였던 배를 팔고 뭍으로 가길 권한다. 결국 빚을 갚기 위해, 아내의 권유에, 자꾸만 줄어드는 바다의 현실 앞에 그는 배를 팔고만다.
바다는 그대로인데 사람들은 변한다.
바다가 주는 것이 없다고 매몰차게 바다를 떠난다.
하지만 그 속에 '내'가 있다. 여전히 '나는 여기가 좋다'고 말하는 그가.
비린내나는 바다를 가슴으로 안고, 가슴으로 울고 웃는 그가 있다.
그는 내 아버지이고, 뭍으로 떠난 자식과 아내의 가장이었다. 그리고 바다의 친구이기도 했다.
"나는 여기가 좋다"
문득 아빠의 말이 생각난다.
아직도 섬에 살고 있는 아빠는 "나는 죽어서도 이 곳을 떠나지 않겠다. "하셨다.
"나는 여기가 좋다." 하셨다.
나. 는. 여. 기. 가. 좋. 다.
언제쯤 나는 그 말을 가슴으로 이해할 수 있을까?
책 속에서 아버지와 아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뭍에서 공부를 하고 군생활도 했던 아들은 무기력해진 채로 아버지의 앞에 서 있다. 아들은 자신을 키운 고향에서, 바다에서 아버지와 같은 삶을 살기로 마음 먹은 것이다. 하지만 아버지는 자신이 살아온 길을 아들에게는 물려주고 싶지 않았다.
사람들은 어촌이 고향인 내게 신기하다고 말하지만 나는 어촌이 주는 편안함에 앞서 두려웠고 슬펐던 기억이 난다.
누구보다도 강했던 자연의 힘 앞에서 한 없이 무너져야 했던 아빠와 엄마의 모습이 어린 내 눈에는 무척 아픈 기억이기 때문에.
바다를 눈에 담고 살아 온 시간이 많아서 인지, 나도 모르게 바다가 그리울 때가 있다.
요즘이 꼭 그렇다.
삶이 주는 외로움에 바다가 찾고 싶어만 졌다.
이 소설을 읽어가면서 나는 바다를 만났다. 그래서 행복했다.
한창훈의 소설 <나는 여기가 좋다>를 보면서 유쾌하고 구수한 꾸밈없는 사투리에 웃음지었고,
새찬 바람처럼 하얗게 부딪쳐 검은 빛을 띄는 공포스런 바다의 모습과 같은 현실 앞에 슬프기도 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누군가 마음 속에 그리는 편안하고 소중한 공간이 있다는 것.
그 곳이 바로 '여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 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