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생각사전 - 인성과 생각머리를 키워 주는
양태석 지음, 추덕영 그림 / 세종주니어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인성과 생각머리를 키워 주는

 『인문학 생각사전』

 

요즘들어 인문학에 관한 관심이 많아진 것 같다

어린이를 위한 인문학, 어른을 위한 인문학 서적, 강연등

사회 전반에 걸쳐 예전에 동방예의지국이었던 한국이 어느샌가

급성장한 후유증인지 모르지만 예의를 잃어가고 삭막해져 간다

그럼에 따라 인성이 강조되는 인문학에 관한 관심도 증가하는 것 같다

 

 

 

인문학이란 무엇일까?

인문학은 인간에 대해, 또 인간과 인간의 근원적인 문제에 대해,

인간의 사상과 문화에 대해 탐구하는 학문이다

인문학은 '나는 누구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어떻게 죽을 것인가?'

하는세가지 문제로 압축된다

 

 

 

 

돌이켜보면 청소년시절 고민하던 문제이다

'나는 왜 태어났는지?', '왜 살아가는지?',  '죽음을 어떻게 맞을 것인지?'...등등

많은 밤을 홀로 고민하고 괴로워했던 사춘기 시절이 떠오른다

우리 아이들도 이런 고민을 하며 성장할텐데 그때 이 책 『인문학 생각사전』을

읽는다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인문학 생각사전』은 24가지의 주제에 관해 질문을 하고

그 질문에 대한 대답과 명사들의 명언과 격언, 그리고 다양한 예화를 통해

초등학생들이 '인간다움'이 뭔지 알기 쉽게 풀어놓은 인문학 사전이다

 

 

 

1.나는 누구인가?

2.인생이란 무엇인가?

3.꼭 학교를 다녀야 하나요?

4.성적이 나쁘면 행복해질 수 없나요?

5.어떤 직업이 가장 좋을까요?

···· 등 우리 아이들이 한번쯤은 고민했을 문제들이 가득 실려있다

 

 

 

 

 

 

 

 

 

10. 책을 읽으면 어떤 점이 좋은가요?

우리 아이들이 스마트폰과 컴퓨터에 빠져 책을 점점 멀리하고 있다

부모님들은 책을 읽는 것이 얼마나 인생에 많은 도움이 되는지 알고 아이들에게

독서의 중요성을 말하지만 사춘기에 들어간 아이들은 귓등으로도 듣지않는다

이럴 때 『인문학 생각사전』의 이 챕터를 읽으면 조금이라도 깨우치지않을까싶다

유럽을 정복한 나폴레옹은 25년동안 8000권의 책을 읽었고, 하물며 이집트 원정 때도

1000권의 책을 배에 싣고 다녔다고 한다

빌 게이츠의 '오늘의 나를 만든 것은 우리 마을 도서관이고, 하버드 대학 졸업장보다

소중한 것은 독서하는 습관이다'라는 말은 너무나도 유명하다

프랑스 작가 생 피에르의 '좋은 책은 좋은 친구와 같다'라는 말처럼 우리 아이들이

책과 좋은 친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14. 부모님 말은 다 옳은 건가요?

초등학교 고학년이나 중학교 1~2학년이 되면 사춘기가 찾아와

부모님 말이 귀에 잘 안 들어옵니다​

부모님이 약간 어긋난 말을 하면 그걸 붙들고 늘어져서 다시 말대꾸를 하고 반항을 하죠

여기서 중요한 것은 부모님 말이 옳으냐 그르냐가 아니라 사려 깊은 학생이라면

부모님이 야단을 치거나 훈계를 할 때 여러분이 보아야 할 것은 그 말보다 그 안에

숨어 있는 부모님의 의지, 또는 의도입니다

부모님의 말이나 행동만 가지고 부모님을 평가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늘 혼내고 야단쳐도 내가 아프면 병원에 함께 가 주고, 약을 먹여 주고, 밤새 간호해 주는

부모님의 마음, 자식에 대한 애틋함과 사랑의 마음을 볼 줄 알아야 해요

부모님이 조금 틀린 말을 했다고 꼬투리 잡고 대들지 마세요. 그 마음을 헤아려 보고 되도록

그 뒤에 숨어 있는 마음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세요

한 발 더 나아가 이해하고 사랑하는 것, 그 안에 사람의 길이 있고 인문학이 있답니다

(p.150~151)

이 글을 읽으면서 너무나 공감이 갔다. 현재 우리집의 모습이기도 하기에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니 정말 감당하기 버거울 정도로 자기 생각이 커졌지만 그 만큼 반항도

심해진다

엄마의 말은 모두 잔소리로 치부해버리니 대화가 되지않아 답답한 마음이었는데

『인문학 생각사전』의 이 챕터는 나의 마음을 대변해 주고 우리 아이에게 엄마의 마음을

전달할 수 있을 것 같아 반갑다

글을 읽는동안 잠깐이나마 엄마인 나에게 마음의 힐링이 생겨 기분좋다

독서의 힘을 다시 한 번 느낀다​

 

 

 

 

 

 

 

 

 

20. 어떻게 해야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나요?

​창의력이 경쟁력이다 - 대박 난 우동집

우동집을 거꾸로 만들려고 생각한 가와구치씨, 모든 사람이 안된다고 했을 때 뚝심으로

밀어붙여 거꾸로 지은 우동집으로 대박이 났다

이렇게 창의력은 남들과 다르게 생각하는 힘

창의력은 엉뚱한 사람이

엉뚱한 곳에서, 엉뚱한 물건으로 대박을 치게 만드는 힘이다

창의력을 발현하기위해서는 수많은 경험과 학습이 축적되어야한다

우리 아이들도 경험을 많이 쌓고 책도 열심히 읽어서 창의력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해야겠다

 ​

 

 

 

 

 

​'인간다움'이 무엇인지 알기 쉽게 풀어 놓은 초등학생을 위한 인문학 사전

『인문학 생각사전』을 읽으며 아이들의 생각의 깊이가 한 뼘 더 깊어지길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