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울어진 교육 - 부모의 합리적 선택은 어떻게 불평등을 심화시키는가?
마티아스 도프케.파브리지오 질리보티 지음, 김승진 옮김 / 메디치미디어 / 2020년 3월
평점 :
【기울어진 교육】
부모의 합리적인 선택은 어떻게 불평등을 심화시키는가?

아이를 양육함에 있어 사회 계층적으로 차이가 나는 원인이 무엇일까? 경제적 인센티브와 돈, 능력, 시간과 같은 제약 조건의 상호작용으로 상당 부분 설명할 수 있다. 양육 형태의 차이는 부모 자신이 자랐던 사회적, 경제적 환경, 아이를 키우고 있는 현재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 그리고 아이가 성인이 되었을 때 살게 되리라 예상되는 사회적, 경제적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우리 부모님 세대에는 사회적으로 어려운 시기였다. 따라서 교육을 받기보다 일터에 나가 돈을 버는 게 당연시 되고 몇 몇의 특권 계층이나 집안의 장남정도가 고등교육까지 받고 좋은 직장에 취직을 하면 나머지 식구를 돌보는 형태였다. 교육을 받고 고위직에 올라가면 많은 경제적 여유와 사회적 명예, 인정을 얻을 수 있다. 이런 교육의 격차가 경제력 차이를 불러오는 걸 인식하며 아이들 교육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 그러면서 '타이거맘', '헬리콥터맘'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 책의 두께만큼 많은 사례와 분석을 통해 경제적 여건이 부모가 내리는 선택 및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다양한 국가별, 시대별 양육 방식의 특징을 알아볼 수 있는 즐거운 시간이었다. 책의 두께 보다 내용은 가독성이 좋았다. 시대별, 국가별 교육의 차이나 한 국가 내에서 소득, 교육 수준, 인종 등에 따른 양육 방식의 차이, 여아와 남아를 어떻게 다르게 키우는지, 국가 제도나 정책이 양육에 미치는 영향등에 관해 포괄적으로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론 교육 기회가 얼마나 불평등한지가 양육 방식의 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불평등 정도가 낮고 교육에 대한 투자 수익도 낮은 나라에서는 부모가 더 허용적인 양육을 하는 경향이 크고, 불평등 정도가 높고 교육에 대한 투자 수익도 높은 나라에서는 부모가 권위적이고 자녀를 성취 지향적이 되도록 몰아부치는 경향이 크다. 허용형 양육이 일반적인 스웨덴은 불평등 정도가 매우 낮고, 더 성취 지향적인 스위스는 스웨덴보다 불평등 정도가 높다. 자녀에 대한 온갖 걱정으로 전전긍긍하는 헬리콥터 부모의 나라 미국은 스위스보다 불평등 정도가 높다.

양육의 형태는 독재형, 권위형, 허용형, 방임형이 있다. 권위형 양육의 요소와 독재형 양육의 요소가 결합된 유형을 집약적 양육이라고 한다. 이 집약적 양육은 아이의 삶에 매우 강하게 개입하는, 고도로 관여적인 유형의 부모 행동을 말한다. 타이거 맘, 중국계 미국인 부모들이 여기에 속한다. 책을 읽으면서 나는 아이들을 어떤 형대로 양육하고 있나 생각해보게 된다. 한 가지로 치우치지않았는지 혹시 독재형은 아닌지. 바라는 바는 권위가 있으면서 허용해주는 방향으로 조화롭게 양육해야겠다 생각한다. 각 나라별로 살펴본 양육형태에서 권위형 부모의 과보호적인 형태가 헬리콥터 부모이다. 부모의 의도에 맞게 아이를 과보호하고 양육하다 마마보이가 될 수 있음을 명심하고 현명하게 키우는 노력을 기울여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