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 장편소설












마지막이라는 단어의 깊이와 아득함을 생각하며 <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은 나에게 어떤 울림이 있을지 기대하며 읽어보았다

빅 엔젤이라는 주인공은 멕시코인으로 미국 시민권을 얻고 나선 인종차별의 나라에서 버텨내며 복잡한 가정사를 견디며 미국인으로 살아내려고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이민자 가족사가 책 속에 고스란히 녹아있는데 멕시코 문화를 잘 모르는 나로썬 가족간 대화들의 적나라한 표현들, 비속어들, 유머라고 하는 말들의 의아함등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요소요소 있었다

빅 엔젤은 70세 생일 파티를 준비한다

그 보다 앞서 일주일 전에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광활한 미국에서 친척들이 어머니 장례식과 자신의 생일 파티를 일주일 상간에 2번 오기란 힘드리라 생각하고 장례식과 생일 파티를 연이어 하기로 하고 어머니 장례식을 일주일 미룬다

하! 나로썬 제일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다

친척의 수고로움을 생각하기 보단 자기애가 더 우월한 것이 아닐지

허나 빅 엔젤의 사정은 또 이해가 간다

말기암환자인 빅 엔젤은 자신의 죽음이 머지않았음을, 또 그날이 오늘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한다면 생의 마지막에 자신에게 주는 선물로 호기롭게 자기중심적으로 굴어도 된다 싶다

이 책은 죽음을 맞이하는 빅 엔젤과 가족들의 의연함과 유쾌함을 볼 수 있다

누구나 생과 죽음을 한 번씩 맞이하는데 죽음을 바라보는 관점과 태도는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두렵고 무서워 움츠러져 있기 보단 빅 엔젤처럼 하나님과 생일을 한 번 더 보내게 해달라고 협상을 한다든지 자신은 천하무적이라고 생각하고 가족들도 동조한다든지

속으로 울고 있지만 빅 엔젤에게는 보이지않는 가족들의 배려, 죽음을 무겁지않게 받아들이는 빅 엔젤의 자세에서 끈끈한 가족애를 느낄 수 있었다

이 책을 통해 생소한 멕시코인들의 생활방식, 사고방식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었고 유쾌하게 죽음을 받아들이는 자세를 배울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