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한국경제 대전망 - 2026 ECONOMIC ISSUES & TRENDS
오철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앤프리북카페'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세계 경제는 지금 거대한 전환의 문턱에 서 있다. 인공지능(AI)의 폭발적 확산,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 탈세계화의 가속은 그 어느 때보다 불확실한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2026 한국경제 대전망》은 이러한 혼돈 속에서 한국경제가 직면할 위기와 가능성을 총체적으로 진단하고, 새로운 질서 속에서 생존과 도약의 길을 모색하는 책이다. 서울대 명예교수 이근을 비롯한 35명의 경제 전문가들이 참여해 AI, 지정학, 산업, 자산시장 등 다섯 개의 축을 중심으로 2026년 이후의 한국경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단순한 경제 전망서가 아니라, 거대한 구조 전환 속에서 한국이 어떤 전략적 선택을 해야 하는지를 묻는 시대의 보고서에 가깝다.




책은 ‘파용운란(波涌雲亂), 천붕유혈(天崩有穴)’이라는 상징적 키워드로 시대를 정의한다. 물결이 거세고 구름이 어지러운 세상이라 해도, 하늘이 무너질지언정 벗어날 구멍은 있다는 뜻이다. 저자들은 이러한 혼돈의 시기를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새로운 기회의 지점으로 본다. 세계 질서가 요동치는 지금이야말로 기술과 산업의 변곡점을 선점할 수 있는 시기이며, 한국경제는 위기 대응형 사고에서 벗어나 능동적 전환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책은 불확실성의 시대를 살아가는 국가와 개인 모두에게 ‘사고의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이다. AI와 지정학, 산업과 금융이 얽힌 복잡한 세계 속에서 한국이 어떤 가치와 전략으로 미래를 설계해야 하는가에 대한 물음이자, 나아가 변화의 파도를 어떻게 타야 하는가에 대한 실천적 제언이기도 하다. 《2026 한국경제 대전망》은 경제의 언어로 미래를 읽되, 그 이면의 철학적 통찰을 놓치지 않는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위기의 증언이 아니라, 가능성의 설계라는 사실을 일깨우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