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 수면과 꿈의 과학
매슈 워커 지음, 이한음 옮김 / 사람의집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제목 : 우리는 왜 잠을자야할까

-글쓴이 : 매슈 워커

-업체명 : 열린책들

-후기내용 : 




우리는 일상에서 수면을 '휴식'이나 '재충전'의 수단쯤으로 여기곤 한다. 그러나 저자는 그러한 피상적 인식을 완전히 뒤흔든다. 저자는 수면을 단지 피로를 푸는 활동이 아니라, 인간의 생존과 진화, 심지어 사회 시스템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생물학적 핵심 행위로 규정하며, 과학적 발견과 연구를 토대로, 독자들에게 '잠'이라는 활동이 얼마나 필수적이며, 우리가 얼마나 이를 오해하고 있는지를 설득력 있게 풀어낸다.







잠의 부족이 얼마나 치명적인지를 구체적이고 생생한 사례로 보여주며, 저자는 잠을 줄이는 것이 ‘느린 자살’이라는 표현까지 쓰며 수면 부족이 면역력 저하, 대사 장애, 암, 심혈관 질환, 심지어 정신질환과도 직결된다고 경고한다. 특히 잠을 충분히 자지 않는 것이 단순한 피곤함을 넘어, 뇌 기능 저하와 감정 조절 불능, 창의력과 판단력의 손실로 이어진다는 점은, 수면이 곧 인간의 인지 능력과 직결된다는 사실을 다시금 일깨운다. 수면을 단순히 과학적 사실로만 설명하지 않고 저자는 연구자이자 교육자, 대중과 소통하는 해설자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딱딱할 수 있는 과학적 주제를 놀라울 만큼 흡인력 있게 풀어낸다. 렘수면, 수면 주기, 뇌파 활동 같은 복잡한 개념들도 일상의 경험과 연결지어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테면 ‘왜 밤늦게까지 깨어 있으면 더 또렷해지는 기분이 드는가’, ‘아이들의 늦잠은 게으름이 아니라 뇌 발달의 일부인가’ 같은 질문에 대한 설명은 독자들의 고정관념을 무너뜨리면서도 납득할 수 있는 과학적 설명을 제공한다. 현대 사회가 잠을 희생양 삼아 생산성과 효율을 강조해 온 것은 더 이상 지속될 수 없는 흐름이다. 저자는 수면 부족이 개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것뿐 아니라, 기업과 사회의 시스템에도 심각한 오류를 야기한다고 말한다. 이는 곧 인간 중심의 사회 시스템이라면 수면을 보장하는 구조 역시 필수적이라는 주장으로 확장된다. 수면 부족으로 판단력이 흐려진 리더,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고, 수련의의 오진은 결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비용으로 돌아온다는 것이다.







'잠을 많이 자라'는 조언을 넘어, 어떻게 자야 하는지를 구체적이고 실용적으로 제안하며, 수면 위생을 위한 방법들, 수면제의 위험성,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 수면 패턴 등은 일상에서 즉시 적용할 수 있는 지식들이다. 저자는 잠이 곧 삶의 질이며, 잠의 질이 곧 인생의 방향을 결정한다고 말한다.








독자에게 수면을 통해 인간의 삶을 다시 바라보게 만드는 인지적 전환의 계기를 제공한다. 읽는 동안 졸음이 몰려오더라도 괜찮다. 저자는 그것이야말로 자신의 주장이 작동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할 것이다. 우리 모두는 하루의 3분의 1을, 더 나아가 인생 전체를 더 잘 살아가기 위해, 먼저 잘 자야 한다는 명백한 진실 앞에 서게 된다. 수면에 대한 생각을 완전히 바꾸고 싶다면, 도서야말로 가장 좋은 출발점이다. 무엇보다 자기계발이든 건강 관리든 모든 ‘더 나은 삶’을 향한 노력은 이 기본적인 조건, 즉 수면이 충족될 때 비로소 가능하다는 사실을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