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하는 모든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 우리의 삶을 넘어선 본질에 대한 이야기 세스 시리즈
제인 로버츠 지음, 매건 김 옮김 / 터닝페이지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앤프리 카페를 통해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도서는 인격을 가진 에너지형태를 본질인 '세스'라는 존재가 들려준 이야기를 집필한 것으로 우주가 인류에게 보내는 메세지를 설명하기 위한 전달 매체로서의 중요한 역할하고 있다. 







총 3부로 이루어진 도서는 영혼과 육체 등에 대한 존재의식을 다룬 1부, 생과 죽음, 자아에 대항 이야기를 다룬 2부, 마지막으로 신과 종교를 다루고 있다





  

물질의 본질, 시간, 현실, 신, 우주, 인간의 존재, 영혼 등은 인류 역사에서 철학, 과학, 종교가 끊임없이 탐구해 온 가장 근본적인 주제들이다. 각각은 독립적으로 다뤄질 수도 있지만, 서로 깊이 얽혀 있으며, 이들의 상호 연계성을 이해하려는 시도는 인간의 가장 궁극적인 질문을 다루고 있다. 플라톤의 이데아나 베르그손의 창조적 진화 등의 철학적 관점은 물질을 존재의 근본으로 보기도 했지만, 일부는 물질이 단지 현상의 표현일 뿐, 더 깊은 실재는 비물질적이거나 형이상학적이라고 보았다. 시간은 인간이 현실을 이해하기 위해 만든 개념으로 아우구스티누스는 “현재”라는 순간만이 실재하며, 과거와 미래는 인간의 마음속에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현실은 우리가 감각을 통해 인식하는 세계지만, 그 이면에 감춰진 실재는 감각으로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일 수 있다. 칸트는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는 현상계이며, 물질적 실재는 인식의 범위를 넘어선다고 주장했다. 신학적 관점으로 본 신은 창조주, 궁극적 실재 또는 모든 존재를 초월하는 절대적 존재로 이해되며, 종교마다 신의 본질과 속성에 대한 해석은 다르지만, 대부분 신은 존재와 우주를 설명하는 근본적인 원리로 간주되고 있다. 한편 무신론적 관점에서는 신이 물질적 우주 안에서 불필요한 가설이라는 의견도 있으며, 우주는 자연적 법칙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우주는 빅뱅으로 시작되었으며, 우주에는 물질뿐 아니라 암흑물질, 암흑에너지 같은 보이지 않는 요소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의 우주 외에도 무수히 많은 우주가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인간 존재의 위치를 새롭게 정의하게 된다. 인간의 존재는 철학과 종교의 중심 주제로 인간은 진화의 산물이지만, 의식과 자기인식 능력은 물질적 진화를 넘어선 특별한 현상으로 볼 수 있으며, 사르트르와 하이데거 같은 철학자들은 인간의 존재가 본질에 선행한다고 보며, 개인이 자신의 존재 의미를 창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영혼은 물질적 신체를 넘어선 인간의 본질적 자아, 또는 의식의 근원으로 여겨지며, 일부 과학자들은 의식을 뇌의 물질적 활동으로 설명하려 하지만, 영혼의 존재를 경험적으로 증명하거나 부정하기는 어렵다. 대부분의 종교는 영혼을 불멸의 존재로 간주하며, 인간의 도덕적 선택과 영혼의 운명이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고 본다. 또한 영혼은 인간 존재의 내적 본질로, 물질적 세계와 초월적 세계를 잇는 연결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불교와 힌두교는 영혼(아트만)과 우주적 실재(브라흐만)의 일치를 강조하며, 인간 존재를 전체 우주의 일부로 보며 플라톤은 영혼이 이데아 세계와 연결되어 있으며, 물질세계에서의 삶은 영혼의 잠시 머무름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모든 존재에 대한 전체적인 연계성을 고찰해 보면 우주와 물질은 존재의 물리적 기반이며, 시간과 현실은 인간 경험을 구조화하는 틀로 작용한다. 신과 영혼은 물질을 초월한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는 길을 열어주며 인간은 이 모든 것의 중심에서 자신의 존재와 우주의 관계를 성찰하며, 자신의 삶과 의미를 만들어 가고 있다. 도서는 현생을 넘어서 이 모든 주제는 각기 다르면서도, 상호 연결되어 우리의 실재와 존재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풀어주는 이야기를 제공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