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이별을 위한 짧은 편지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68
페터 한트케 지음, 안장혁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럴 줄 몰랐다. 내가 한트케의 책을 감명깊게 읽을 줄은. 감명은커녕 그가 쓴 글을 읽고 이해나 할 수 있었으면, 그래서 어떤 견해랄 것을 가져봤으면 좋을련만 하는 심정으로 이 책을 펼쳐들었다. 여담이지만 『긴 이별을 위한 짧은 편지』는 새해보다 연말이 어울리는 소설이라는 생각이 든다, 오한기 소설가가 말했다. 결국 우리는 생애의 어떤 순간과 동일시할 수 있는 책 앞에서 오래 머물러 있지 않을까? 이 책이 그랬다, 얼마 전 타계하신 허수경 시인은 말했다. 이런 말마따나 작년 크리스마스를 한 주 앞두는 시점에 이 책을 덮었던 나는 약 일 년 만에 같은 책으로 한트케를 다시 만났다. 사실 그 사이 그의 다른 소설 『소망 없는 불행』을 읽긴 했다. 이번 책을 읽으며 나는 21년 연말과 20년 연초를 거쳤다. 변화라면 한 해가 종말을 고했고 나도 한 살을 더 먹었을 뿐, 그 외에 특별히 변할 게 우리에게 뭐가 있겠는가?  그러나 나는 그 시기를 거치는 동안 내 안에 무언가가 크게 변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이해하기 어렵고도 장황한 문장들이 읽히기 때문이었을까. 물론 불과 일 년 전보다 내가 텍스트를 인식하는 능력이 향상된 듯한 인상을 이 책을 읽으며 느꼈다. 그것도 그렇지만 나는 여기 글에 쓰인 화자의 말과 나와 나의 인간 관계를 대입하며 소설에서 그려지는 미국을 간접적으로 횡단함으로써 한 차례 성장한 기분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내게 이 소설은 성장 소설이다. 한트케가 말했듯이. "나는 『긴 이별을 위한 짧은 편지』를 통해 한 인간의 발전 가능성과 그 희망을 서술하려 했다.(한트케의 말 인용)"
  극작가, 혹은 소설가로 추정되는 소설 속 화자는 한 통의 편지를 받는다. 발신인은 아내였고 편지 내용은 짧고 간명했다. "나는 지금 뉴욕에 있어요. 더이상 나를 찾지 마요. 만나봐야 그다지 좋은 일이 있을 성싶지 않으니까.(본책, p.11)" 그리고 화자는 아내를 찾아 미국 대륙을 횡단한다. 자기도 모르게 혼잣말도 지껄이고, 새로운 공간에 내던져진만큼 스스로 변화를 꿈꾸기도 하고, 낯선 이들과 풍경을 마주하면서 뜻하지 않은 기억을 떠올리고, 자신에 대해 생각한다. 아내가 자신을 떠난 이유를 탐색하면서 자신이 아내에게 무슨 의미였는지 자신이 생각하는 아내의 모습은 어떠했는지 아내의 눈에 비친 자신은 다른 사람들과 무엇이 달랐을지 화자는 자문한다. 그런데 그런 생각은 자신을 향해 돌아서면서 결국 자신이 자신에 대해 자신과 이야기하는 꼴이 된다. 예컨대 전화를 받으면서 화자는 생각한다. "'제대로 전화하는 법을 배우는 날이 오기는 올까. 대학에 들어와서 처음으로 공중전화에서 전화를 해봤지.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많은 것을 일정한 나이가 되어서야 경험하기 시작했어. 더이상 뭔가를 제대로 익히기 쉽지 않은 나이에 말이야.(본책, p.35 변형하여 인용)" TV가 지루해서 만화책을 볼까 고민하다 관두면서 또 이런 생각을 한다. "스누피 만화를 엮어놓은 몇 권의 모음집을 읽고 난 후 밤에 잠을 설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꿈들이 죄다 네 개 단위의 영상으로 끊어지고는 다시 네 개 단위의 영상으로 된 새로운 꿈이 이어지는 것이었다,(본책, p.40)"
  아내와 싸우는 이유를 생각하면서 화자는 이렇게도 생각한다. "말다툼을 하다보면 나 스스로 진지함을 잃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강한 적대감을 품다가도 결국 한바탕 웃음을 터뜨리게 되는 상황, 아니 웃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상황에 될 것을 뻔히 알면서도 우리는 늘 서로의 신경을 건드렸다. 그런 까닭에 소강상태나 화해의 미소까지도 단지 상대방에게 더 큰 상처를 주기 위한 계기로 이해되었다.(본책, p.45)"
  가끔 이렇게 자신에게 파묻히다보면 화자가 여행의 본래 목적인 아내 찾기를 망각하고 헛발질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의 생각을 따라가는 도중 나와 우리가 겪은 공통의 일과 생각이 포개지는 순간이 있고 그때마다 나는 화들짝 놀라곤 했다. 여기 내가 경험한 일이 쓰여있다고. 사람이 스스로 겪은 일을 누군가가 명징한 언어(혹은 사진과 그림)로 풀어놓은 걸 마주할 때만큼 소름 돋고 민망한 일은 드물다. 내가 화자의 긴 이별 과정에 동승하자 그때부터 한트케의 글은 명료해지기 시작했다. 소설을 끝까지 읽을 수 있을 거라는 확신이 든 순간도 바로 이때다.
  만일 소설을 읽는 기준이 힘있고 흡입력있는 서사에 있다면, 필히 한트케를 읽는 데 무리가 따를 것이다. 나는 모든 책을 처음 읽을 때, 그런 방식으로 접근하는 편이다. 길 위로 나가 히치하이킹하고 술 마시고 여자 만나고 친구 사귀는 여행기보다 음모와 서스펜스로 꼬여진 박진감넘치는 장르 소설이 솔직히 더 재미있으니까. 대신 후자의 책은 한 번 읽고 말 테다. 내 방에는 책장을 삐져나온 책들이 해변가에 솟아난 바윗덩어리처럼 튀어나와있다. 아직 못 읽은 책도 많지만 언젠가 다시 읽을 책도 많다. 사실 그래도 말해 한트케는 다시 읽을 책 무더기 서열에서 비교적 저멀리 밀어놓은 워스트 리스트 중 하나였다. 그의 책은 이해도 안 되고 재미도 없었으니까. 나는 처음 이 책을 읽었을 때 품었던 마음을 꺼뜨리고 기본 플롯만 염두에 둔 채 읽기 시작했다. 그것은 참 다행이었다. 그렇지 못 했으면 이런 문장도("나는 내가 그 모든 콤플렉스에서 벗어나기를 더이상 원치 않는다는 사실과 함께, 오히려 지금부터는 그 콤플렉스들을 배려하는 방법이나 생활방식을 찾아내는 것이 더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본책, p.105)") 이런 문장도 ("그리고 한 사람이 상대방의 뭔가가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상대방은 그것을 당장 기피하지 않고, 먼저 그것이 자기의 삶의 방식에 어울린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노력했다.(본책, p.117)") 만나지 못 했을 것이다.
  그러나 성장이라는 건 뭘까? 그보다 변화라는 건 뭘까? 우리가 우리 세계에서 한 치 앞도 벗어나기가 실질적으로 힘들다면 성장과 더불어 변화는 기대할 수 없지 않을까. 인간이 감추려 드는 비밀 중 하나는 변화를 외면하는 데 있다. 우리는 스스로 변화를 겪고 그것으로부터 밀고 나가 삶을 개척하는 것보다 지금의 나의 삶을 유지한 채로 효과적인 변화가 알아서 시기 맞춰 제 발로 들어오기를 희망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변화를 두려워하기보다 체질에 맞지 않아서 관둔다. 그것이 인간의 비밀이자 저주받은 특성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함부로 입맛을 취향을 개성을 태도를 자신을 바꾸질 않는 특성. 역으로 함부로 입맛을 취향을 개성을 태도를 자신을 규정하려는 특성. 그래서 뭐 어쩌란 말인가? 누군가는 이렇게 말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동시에 나는 그가 내게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로 들려주었다는 사실에 모욕감을 느꼈다. 도대체 왜 내가 누군가의 이야기를 계속 들어주어야 하는 것인가?(본책, p.58 변형하여 인용)" 스스로의 변화 방향은 스스로가 생각해보시길. 한트케도 그것에 관해서는 함구했다. '한 인간의 발전 가능성과 그 희망'은 이토록 말하기 조심스러운 것이다. 적어도 나는 이 책을 읽으며 그 가능성 내지 희망이라는 실오가리를 살짝 느껴본 것 같다. 왜냐하면 나는 이 책을 읽다가 멈추기를 반복했으므로. 앞으로 내게 올 새로운 변화를 추가하자면 한트케를 더 찾아 읽을 거라는 사실이겠다.
  이것으로 지난 날도 안녕이다.

https://blog.naver.com/jaehyung137/222613775919


"그 외에 많은 것을 일정한 나이가 되어서야 경함하기 시작했어. 더이상 뭔가를 제대로 익히기 쉽지 않은 나이에 말이야." - P35

나는 특징들만 모으기를 그만두고 인내심을 갖기 시작했다. - P69

나의 모든 관찰 행위는 아무런 긴장도 없이 그저 일어날 뿐이었다. - P1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