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뒤적뒤적 끼적끼적 : 김탁환의 독서열전 - 내 영혼을 뜨겁게 한 100권의 책에 관한 기록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작가는 뒤적뒤적 끼적끼적 거리는 사람이다. 라고 김탁환 저자는 말한다. 그러므로 자신은 오늘도 뒤적뒤적 끼적끼적 거리노라고..이 책에는 100권의 책이 소개되어 진다. 단순한 100권이 아닌 김탁환 작가 본인이 읽고 감상하고 감탄한 책들이다. 그리그 그 100권의 책을 쓴 작가들에 관하여서도 언급한다.
먼저 이 책에 대한 나의 감상먼저 적노라면 책에 관해 언급한 책을 평소에도 좋아한다. 그래서 이 책이 좋았다라고 말하면 그것은 입에 발린 말이라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100권의 각기 다양한 책들을 소개한 김탁환 작가. '소설에 중독된 영혼만이 정직할 뿐이다'라고 말했던 그의 책에 관한 담담하고도 뜨거운 이번 이 책의 이야기가 책에 대한 내 마음을 더 열정적으로 만들어 버렸다.
그가 소개한 100권의 책들을 모두 섭렵해 버리고 싶었다. 사실 부끄럽기도 하지만 그가 소개한 100권의 책중에서 내가 읽은 책은 단 한권. <태백산맥>뿐이었다. 익숙한 작가도 있었지만 그 작가의 책은 또 생소했고. 전혀 알지도 못한 작가와 책의 제목들도 그의 책소개에 나를 끌여들였다.
그는 작가이면서도 책을 읽는 독자이다. 시간이 날때마다 책을 보았으며 보았던 책도 또 보는 작가이다. 그 100권의 책중에 도스토예프스키의 아내가 쓴 <도스프예프스키와 함께한 나날들>은 100권의 책 중에 제일 먼저 읽고 싶다. 도스프예프스키의 글쓰는 작업을 옆에서 보면서 아내가 지켜보던 나날들. 궁금했다..
이 책 <뒤적뒤적 끼적끼적>은 책에 중독된 사람들.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보면 참 좋을 책일것 같다 ^^ 별 다섯개~ *^^*
위로를 주는 책이 있다. 각박한 일상에 지쳐 신음할 때, 따스한 입김처럼 내 몸을 감싸는 책. 절망하지 말고 다시 처음부터 시작하라고 격려하는 책. 청소년 시절에는 법정 스님의 <무소유>를 거듭 읽었고, 소설가로 입문한 이후로는 폴 오스터의 <빵굽는 타자기>라는 언덕에 자주 기댔다. (p.13)
작가의 일상만큼 지루하고 별 볼일 없는 것이 또 있을까. 작품이 깊고 넓을수록 그의 삶은 단순할 수밖에 없다. 하루에 16시간 이상을 집필과 퇴고에 매달린 발자크나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꼿꼿한 자세로 타자기를 두드린 헤밍웨이를 보라.(p.301)
연말이면 나는 꼭 다치바나 다카시의 자신감으로 똘똘 뭉친 책 <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를 읽는다. 이 무시무시한 독서광은 구입한 책을 보관하기 위해 '고양이 빌딩'이라는 지하 1층, 지상 3층짜리 건물을 올렸다. 그의 책 읽기는 저돌적이다. 무엇을, 어떤 목적으로 읽는가를 항상 염두에 두며, 독서를 글쓰기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솜씨는 세계 최강이다.(p.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