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물농장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
조지 오웰 지음, 도정일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워낙 유명한 책을 이제서야 읽게 되다니.. 부끄러워 하면서 읽기 시작한 민음사세계전집이다. 이 책은 저자 조지 오웰. 본명은 에릭 아서 블레어 작가가 쓴 책으로 그는 이 책을 몇 군데 출판사로부터 줄곧 퇴짜를 받았다. 출판사로부터는 '동물들 이야기는 받지 않는다'라는 차디찬 멸시를 받았지만 어려운 시기에도 불구하고 겨우 출판을 내게 되었고 이 <동물농장>의 성공으로 재정적 안정을 얻게 된다.
제목이 보여주는 '동물농장' 처럼 동물들의 이야기이다. 한 농장에서 인간을 몰아내고 동물들이 주인이 되는 동물농장. 그들의 반란은 처음에는 서로간의 평화를 위한 반란이었지만 그 결과는 인간들의 세상처럼 먹고 먹히는 관계로 발전한다. 동물들의 이야기었지만 그 이야기는 출판사들이 그렇게 말했듯이 과연 동물들 만의 이야기로 끝났던 것인가? 그것은 아니었다.그들 동물들이 보여준 반란은 우리네 정치판 이야기와도 사뭇 닮아 있었던 것이다.
한 농장에서 동물들은 자신들의 평화를 위해 인간을 쫒아내고 자신들이 그 농장의 주인이 되었다. 그 중심에는 돼지들이 이끌었는데, 동물들의 세계에서 돼지의 두뇌가 가장 뛰어난 이유였다. 하지만 돼지들 사이에서도 의견차이가 있어서 인간을 몰아내었다는 큰 쾌거에도 불구하고 평화는 존재하지 않아 보였다. 인간들처럼 동물들 세계에서도 권력앞에서 추악함은 존재했다. 그 모든것이 그러한가.. 싶다. 권력과 권세. 돈 앞에서는 어떤것도 나약해 질수 밖에 없는가..
두껍지 않은 책이라서 금방 읽어 버렸고, 또 흡인력이 강한 책이라 재미있게 읽었다. 책은 <동물농장>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저자 조지 오웰의 또다른 이야기 2편이 더 실려 있었다.
<자유와 행복> <나는 왜 쓰는가> 라는 짧은 자신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조지 오웰.. 그를 만나보고 싶다... 이룰수 없는 소망이지만..
열두 개의 화난 목소리들이 서로 맞고함질을 치고 있었고, 그 목소리들은 서로 똑같았다.그래, 맞아 돼지들의 얼굴에 무슨 변화가 일어났는지 이제 알 수 있었다. 창밖의 동물들은 돼지에게서 인간에게서 돼지로, 다시 돼지에게서 인간으로 번갈아 시선을 옮겼다.그러나 누가 돼지고 누가 인간인지,어느 것이 어느것인지 이미 분간할 수 없었다. - p.123
지난 10년을 통틀어 내가 가장 하고 싶었던 것은 정치적 글쓰기를 예술이 되게 하는 일이었다. 나의 출발점은 언제나 당파의식, 곧 불의에 대한 의식이다. 책을 쓰기 위해 자리에 앉을 때 나는 나 자신에게 <자,지금부터 나는 예술작품을 만들어낸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 책을 쓰는 이유는 내가 폭로하고 싶은 어떤 거짓말이 있기 때문이고 사람들을 주목하게 하고 싶은 어떤 진실이 있기 때문이다. - p.141
<동물농장>은 내가 정치적 목적과 예술적 목적을 하나로 융합해 보고자 한, 그래서 내가 뭘 하고있는지 충분히 의식하면서 쓴 첫 소설이었다. 지금 7년째 나는 소설에 손대지 않고 있으나 곧 하나 쓸까 한다. 물론 실패작일 것이고 모든 책은 실패작이지만 내가 쓰려는 책이 어떤 종류의 것인지 나는 분명히 알고 있다. 지금 이 글으 ㅣ마지막 한두 페이지를 다시 읽어보니 마치 나의 글쓰기 동기가 전적으로 공적 정신에서 나온것 같은 인상을 풍긴다. - p.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