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도를 기다리며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이 작품에 대해 수많은 해석이 있었다고 한다. 뒷편에 있는 작품해설란에도 이 희곡작품에 관한 특별한 해석은 없어보인다. 단지 이 작품에 대한 수상란만 무수할뿐..몇달전부터 읽고 싶어 사놓았으면서 이제서야 읽은 책이다..최근에 본 영화 <미쓰 홍당무>에서도 공효진과 그녀의 제자가 학교 행사에서 이 희곡 <고도를 기다리며> 를 연기한다. 영화를 보며 소리쳤던 기억이 난다.. 아~!!! 저 책!!
책의 줄거리는 간단하다.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 이 두인물이 고도를 기다리는 이야기이다. 희곡으로 된 대화로 이루어져 있다.
총 등장인물은 5이다. 블라디미르.에스트라공.포조.럭키.소년
고도를 기다리고 있는 인물은 블라디미르. 에스트라공이고.
포조와 럭키는 지나가는 인물. 그리고 소년은 고도를 기다리고 있는 인물들에게 고도가 내일 올것임을 말해주는 소년이다.
여기서 기다리는 고도라는 인물은 누구인지 확실하지 않다. 그가 언제 올것인지 불확실하고 그렇다고 약속을 한것도 아니다.
그런 인물을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은 종일 내내 고도를 기다리면서 기다리는 시간을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한다.
의미를 알 수 없는 대화들을 주고받는다. 그리고 대화에서 서로 일깨워준다. 우리는 고도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라고-진정 그들이 기다리는 고도란 누구일까.. 제1막장이 그렇게 끝나고 제2막장 같은 장소에서 그들은 또다시 고도를 기다린다.
누군가 작가에게 물었다고 한다. 당신이 쓴 소설속의 '고도'가 누구이며 무엇을 의미하냐고..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고 한다. "내가 그걸 알았더라면 작품 속에 썼을 것이다." 라고.
근데.. 신기한 점은 어떤 의미인지 알지도 못하는 누군가를 기다리고 의미없는 대화들을 늘어놓으면서도.. 이 책을 읽는 내내 지루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블라디미르 : 확실한 건 이런 상황에선 시간이 길다는 거다. 그리고 그 긴 시간 동안 우린 온갖 짓거리를 다 해가며 시간을 메울 수밖에 없다는 거다. 뭐랄까 얼핏 보기에는 이치에 닿는 것 같지만 시실은 버릇이 되어버린 거동을 하면서 말이다. 넌 그게 이성이 잠드는 것을 막으려고 하는 짓이라고 할지 모르지. 그 말은 나도 알겠다. 하지만 난 가끔 이런 생각을 해본다. 이성은 이미 한없이 깊은 영원한 어둠 속을 방황하고 있는 게 아닐까 하고 말야. 너 내 말 알아듣겠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