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피행
시노다 세츠코 지음, 김성은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시노다 세츠코 작가의 두번째 접하는 책이다.. 첫번째 책은 <오타쿠에게 완벽한 여자는 없다>라는 책이었는데. 그 책을 읽고 나서 이 두번째 책에 대한 기대감을 가졌었다.. <도피행>은 첫번째 책보다 더 깊은 애잔함을 준 책이되었다..50대의 주부- 젊고 아름다운 시절은 지나가고 집안 살림을 도맡고. 아이들을 건실하게 키워낸 우리 어머니들의 자리...
내 젖을 물리며 살뜰하게 키워낸 내 아이가 언제까지나 함께 할줄 알았는데 어느덧 머리가 커지고 사회생활을 하고. 사랑하는 사람을 찾게 되면 어느덧 어머니의 자리는 줄어들게 된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어버이날이나 어머니의 생신때 빼고는 특별나게 어머니와 함께 시간을 보낸다거나 따뜻한 말한마디 건네지 못한것 같다.. 그래서 더욱 가슴이 애잔해진 소설이었던 것 같다.
여기 <도피행>에 그런 주부의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50대주부 타에코는 남편과 두 딸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골든 리트리버종의 개 한마리와 함께. 남편에게는 자신이 여자로서는 이미 끝나버린 여자라는 말을 들었고. 두 딸은 이미 사랑하는 사람을 찾은 머리 큰 자녀로 성장해 엄마와 함께 할 시간조차 내지 못한다. 그런 타에코의 삶에 활력이라고는 오직 골든 리트리버종의 포포뿐이었다.
그런 삶 속에서 어느날- 포포(골든 리트리버)가 옆집 어린아이를 죽이게 된다. 순진한 개이더라도 갑작스럽게 놀라게 하거나 겁을 주면 난폭해지는게 개의 습성이다. 그 사건이 일어난 이후 기자들이 몰려들고, 가족들은 포포를 안락사하자고 한다. 하지만 포포를 가족들 누구보다 사랑하는 타에코는 포포와 함께 도피를 떠나게 된다.
집안의 틀에만 있었던 가정주부인 그녀가 한 마리 개와 함께 떠나는 도피행. 그리고 마지막으로 정착한 시골집. 그곳에서 포포와 함께하는 생활은 그녀에게 가족들과 함께 한 시간들보다 더 깊은 행복감을 안겨 준다.. 그리고 그 짧은 행복한 시간을 타에코는 포포보다 먼저 생을 마감하게 된다.
그녀가 포포와 함께 시골집에서 생활하고 있을 때 그녀를 찾아온 기자가 그녀에게 질문을 했던게 기억이 난다. "말씀해 주세요. 왜 도망친 겁니까? 애견과 도피한 주부의 마음속에 있는 건 뭡니까? 이렇게 적적한 곳에 개와 살면서 무슨 생각을 하시는 겁니까? " 라고.. 자신이 돌아갈 집이라는 그 곳에는 자신을 이해해주는 가족은 없는거라고 그녀는 차마 말을 하지 못했다. 자신에게는 돌아갈 집이 이미 없다는 사실을 그 기자는 알지 못했다..
읽으면서 50대 주부였던 타에코. 그녀의 마음이 애써 느껴져서 착찹하고 안쓰러웠던 느낌으로 가득했던 책이다.. 혼자 사는게 살벌할 때도 있지만 가족에게 둘러싸여 있는데도 고독한 건 더 살벌하다고 말하는 그녀..가족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도 자신을 가족으로 인정해 주지 않았던 남편과 두 딸들.. 그런 그녀에게 애완견 포포는 옆에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위안을 주는 그런 존재였다.
시노다 세츠코 작가와 만난 두번째 이번 책도 좋은 느낌을 주는 책이었다. 무언가를 불러 일으키는 책이라고 해야 할까- 그녀의 세번째 책도... 기다려 진다.... *^^*
"여자로서는 끝났다”고 당연하게 말하는 남편에게 부응이나 하듯 갱년기장애가 찾아왔다. 감기에 걸려 열이 39도까지 올라갔을 때나 호르몬 불균형으로 죽고 싶다 느낄 정도로 심한 우울증
이 찾아왔을 때 남편의 입에서 나온 말은 “마음을 고쳐먹고 병을 이겨라”라는 한 마디뿐이었다.
“엄마는 사회생활을 해본 적이 없으니까.”
“집에서 집안일만 하니까.”
취직한 후로 딸들은 무슨 말만 꺼냈다하면 이렇게 말한다. 몸 상태가 안 좋은 것도, 갱년기장애가 심한 것도 ‘일을 안 해서 한가하니까’였다.
“스스로 제대로 돈을 벌면 사회가 어떤 곳인지 조금은 알거야”라고도 했다. 남편조차 입에 담지 않는 말을 태연하게 해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