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여성 No.1 신사임당
안영 지음 / 동이(위즈앤비즈)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초등학교 저학년. 장래희망을 적으라고 했을때 '신사임당' 이라고 적었던 때가 있었다. 그때는 막연하게 그 분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한 상태에서 적었던 것 뿐이었는데...이 책을 통한 지금에서야 그 시절 막연하게만 알았던 '신사임당'.. 그분에 대해 한층 더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또, 내가 알고 있었던 것보다 더 대단한 분이라는 걸 이제서야 마음 깊이 느끼게 된다..

 신사임당. 그분의 이름은 신인선. 신사임당이라는 우리가 그분의 이름이라고 알고만 있었던 '신사임당'은 그녀의 당호였다.그녀의 어머니가 재능이 많으니 당호를 지으면 어떻겠느냐고 물었을때 중국의 주나라 창건을 이룬 성군 문왕의 어머니 태임을 본받고 싶다고 그녀 스스로 만든 당호가 '신사임당'이었다.

 그 당호는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그분의 호칭으로 불려지게 된다. 조선 시대. 그녀는 알고 있었을까.. 널리 우리의 후손들이 그녀의 당호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정도로 불려지게 될줄...신사임당은 딸만 있는 집안에 둘째로 태어나 어렷을때부터 두드러진 재능을 보였다. 그림.글.시.수를 놓는것까지...그리고 시집을 가서 그녀는 일곱 형제를 낳는다.그 중 다섯째 아이로 율곡을 낳게 되는데, 선몽으로 꿈에서 용을 보게 된다. 일곱 형제를 자애로 키우는 신사임당-

 결혼을 해서도 그림이나 글 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항상 자녀들에게 공부하는것을 가르치셨고, 예절과 법도를 솔선으로 보여주셨다. 책을 읽는 내내.. 신사임당의 자식에 대한 가르침과 그녀의 재능도 부러웠지만, 사임당 그분의 자식으로 태어난 일곱 형제또한 부럽기 그지 없었다.

 책의 각 단락마다 신사임당 의 그림이 실려 있어 그녀의 그림 실력이 어느정도인지 엿볼 수 있었다.대한 민국 No1. 신사임당. 아마 최고의 현모양처를 꼽으라고 하면 신사임당 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이런 분이시기에 그토록 존경을 받을 만한 분이시구나... 

책을 읽으면서 그런 생각 뿐이었다.. 그리고 자녀를 교육하는 것에 있어서 어떤 식으로 다가가야 하는지, 어떻게 배움을 주어야 하는지, 조선시대. 오래 전 그분의 가르침이지만 현대에도 같이 적용할 수 있는 그녀의 자녀 가르침 법.

배우고 싶었다. 나도 그렇게 할 수 있을까... 그렇게 하도록 해야지.. 하는 마음 가짐을 배웠다.신사임당에 대해 자세한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책이었고.그분의 가르침과 생활해온 환경을 들여다 볼수 있는 좋은 책이었다.

 어떤 이들은 율곡 선생이 없었다면 신사임당의 존재가 있었겠느냐고 말하지만, 율곡 선생이야말로 신사임당의 영향이 없었다면 당대의 대학자로서 길이 남을 수 있었겠느냐고 반문하는 것이 오히려 당연하다고 생각됩니다.

 어머니가 걱정스레 말씀하셨지만 사임당은 그냥 있을 수가 없었다. 이제 선이 자라면 글도 가르쳐야 하고, 머지않아 둘째가 생기면 육아에 전념해야 한다. 어머니 말씀처럼 할랑할랑 산다는 것은 오히려 고통이었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살아 있는 것 같지가 않았다. 허허로웠다. 그것은 책을 읽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무엇인가 의미 있는 일을 할 때만 채워지는 허기였다.한 번뿐인 생애, 자신에게 잠재해 있는 능력이 있다면 모두 꺼내어 불태우며 살고 싶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