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줄 긋는 남자 (보급판 문고본)
카롤린 봉그랑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이제는 책을 소장해서 읽고 있지만, 고등학생 때만 해도, 도서관을 이용해서 책을 빌려 보았는데, 그것이 내 고등학교 생활의 소소한 기쁨중의 하나였다. 이 책에 나오는 스물다섯살 여자 콩스탕스처럼 나도 도서관에 회원을 등록하고(무료였다) 책을 빌려다 보곤 했었다.

스물다섯 살의 콩스탕스. 그녀는 고독하고 단조로운 매일을 보내다 동네 도서관을 이용하게 되는데, 도서관에서 빌려온 세권의 책 중 한권에서 메모를 발견하게 된다. 그 메모란 도스또예프스끼의 <노름꾼>을 읽어보라는 권유의 글을 발견하게 되는데.. 

흥미가 생긴 콩스탕스는 그 책을 다시 열람하게 되고, 책에서 밑줄 그인 문장들을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또 다시 이어지는 다른 책들에서의 밑줄 그인 문장들...

내가 고등학생 때 도서관을 이용하며 보았던 책들 중에서도 이런 경우가 있었다. 어떤 책에서는, 밑줄 그은 책들도 있었고, 또 어떤 책에서는 폰번호가 적혀 있는 책들도 있었다.

하지만 그때의 나는 그다지 큰 관심이 가질 않았다. 다만, 공공으로 이용하는 책에 이렇게 하면 쓰겠는가? 라는 비난의 마음만 가졌을 뿐이다. 사실 나는 책에 밑줄을 긋는 다는가. 메모를 한다던가. 또, 책을 구기는 것을 상당히 싫어 한다.

어떤 사람들은 흔히 넘어갈 수 있는 것을 콩스탕스는 관심을 가지고  밑줄을 그은 남자가 자신에게 말을 걸어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도서관을 들락날락 하면서, 밑줄 그은 남자에 대해 상상하고 심지어는 그 사람을 위해 파란색 가운 까지 사다 놓는 콩스탕스.결국 밑줄 그은 남자를 찾지는 못했으나, 외로웠던 그녀의 생활에 진정한 사랑을 찾게 된다.

콩스탕스의 귀여운 심리와 발랄함이 느껴지는 책이었다.
너무도 금방 읽혀져 내려간 책이었고, 그녀의 심리가 돋보이는 책이었다. ^^

둘이 사는 삶에 행복한 게 있다면, 그건 메아리가 있다는 점이리라.

언뜻 보기에 어리석고 황당하기 짝이 없는 생각이라도 그것이 마음속에 너무 단단하게 뿌리를 내리면, 마침내 그것을 현실적인 일로 믿어 버리는 경우가 가끔 있다. 더욱이 그런 생각이 강렬한 욕망과 결부되어 있을 때는, 그것을 결국 숙명적이고 불가피하고 미리 정해진 것, 존재하지 않을 수 없고 일어나지 않을 수 없는 일로 받아들이게 된다. 그렇게 되기까지는, 아마도 욕망 이상의 어떤 것, 즉 몇몇 예감의 결합, 비상한 의지력, 상상 때문에 생긴 자기 도취 따위도 한몫을 할 것이다.

존재하지 않는 것일수록 더 크게만 느껴지고 온 공간을 차지하는 법이다.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 그것은 우리에게 아무것도 가져다 주지 않는다. 물론 백치처럼 자기 도취에 젖고, 마음이 흥분되며, 가슴 한쪽이 갑자기 아릿해지고, 얼굴이 화끈거리며, 관능이 새로이 꿈틀거리는 것을 즐길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랑하는 일이 다른 뭔가를 가져다 주리라고 기대해서는 안 된다. 사랑의 고전적인 오류는 거기에서 싹트는 것이다. 사랑이 지속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사랑은 한줄기 바람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