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7개의 경계로 본 세계사 - 국경선은 어떻게 삶과 운명, 정치와 경제를 결정짓는가
존 엘리지 지음, 이영래 외 옮김 / 21세기북스 / 2025년 8월
평점 :
🌟 이 책은 21세기북스 @book_twentyone 를 통해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47개의 경계로 본 세계사> - 선을 그은 자, 선 위에 선 사람 🫧어릴 때는 지도가세상의 진실인 줄 알았다.하늘에서 내려다본 듯한 색감과정확한 선들,그 모든 게 확정된 듯 느껴졌다.하지만 지금 와 생각해보면그건 단지 누군가가 정한약속이었을 뿐이다.⠀어떤 선은 누가 봐도 명확하고,어떤 선은 그냥 거기 있다고 해서믿게 되는 거다.그 선들이 그렇게까지절대적인 줄 알았는데사실 그렇지 않다는 이야기를,이 책은 아주 뚜렷하게 그리고 있다. 🫧⠀역사 속 경계라는 건생각보다 가볍게 만들어졌고그만큼 무겁게 사람들을 나눠왔다.어떤 선은 철조망이 되고,어떤 선은 두고두고 불씨가 된다.그저 지도 위 얇은 선 하나가,그곳에 사는 사람들의삶 전체를 바꿔놓는다.⠀한 줄 그은 사람은 떠났는데,그 선을 지키는 사람들은여전히 그 자리에 남는다.⠀유럽에서, 아프리카에서, 중동에서,그리고 지금 우리가발 딛고 있는 한반도까지.경계는 멈춘 적이 없었다. 🫧⠀국경 이야기가 나오면대부분 전쟁이나 갈등부터 떠오르지만,이 책은 그보다 먼저선을 만든 사람들의 시선에 집중한다.실수와 욕망, 계산과 타협이 섞인그들의 결정이어떻게 지도를 바꾸고세상을 나눴는지를 따라가게 된다.⠀그리고 그 선에 갇힌사람들의 목소리가이야기처럼 이어진다. 🫧⠀경계는 언제나외부의 일이라고 생각했지만읽다 보니 생각이 바뀐다.지금 우리가 사는 이 구조 자체가여러 겹의 ‘선’ 으로이루어져 있다는 사실.그 선이 국가일 수도,문화일 수도, 혹은감정일 수도 있다는 걸차근차근 느끼게 된다. 🫧물론 웃긴 장면도 많다.이게 진짜 실화야? 싶은기상천외한 사례도 등장한다.경계라는 게 얼마나 어설프고우연한지 보여주는 대목이다.⠀하지만 동시에,그 선 위에서 삶이계속되었다는 게 더 놀랍다.그 누구도 원하지 않은 선 위에서,어떤 사람들은 나라를 잃었고,어떤 사람들은 정체성을 잃었다.⠀경계가 무섭게 느껴지는 건그 자체보다,그걸 움직일 힘이 없다는 데서 오는무력감 때문일지도. 📍읽고 나면 이런 생각이 든다.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계는누군가의 펜끝에서 시작됐고,우리는 그 선 위에서각자의 삶을 지속해왔다는 사실.⠀선은 언제든 그어질 수 있고,언제든 사라질 수도 있다.⠀“선 하나가 만든 세계라면,우리는 어디까지 다시 그릴 수 있을까?”⠀세상은 생각보다 복잡했고,지도는 생각보다 단순했다.⠀지금은 그 사이를조금 더 의심하면서 살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