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탈인간 선언 - 기후위기를 넘는 ‘새로운 우리’의 발명
김한민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11월
평점 :
#도서제공
.
.
❝ '인간중심'이라는 말은 더 이상 좋은 의미가 아니다.❞
인간 중심적 사고와 활동, 인류세가 야기한 생태기적 파국을 벗어나기 위해 저자는 '탈인간중심주의'를 주장하는 '탈인간'을 선언한다. 다양한 비인간의 관점을 취하려 하고 다른 존재들과의 공존을 현실화하기 위한 노력, 타자 포용이 그 핵심이다. 이 책은 특히 현실과 호흡하면서 얻은 실천적 성찰의 모음이다.
기후 위기를 되돌릴 골든타임은 10년도 남지 않았지만, 자본과 기술이 해결한다는 서사는 행동의 변화를 이끌지 못한다. 기후 위기를 인식하고 큰 방향에는 동의하지만 변화의 속도는 지지부진한다. 지금은 과격해 보이는 행동이 실제 저감을 위해 필요한 행동이다. 코로나 시기의 통제적 조치들은 국가적 위기라는 이유로 가능했다. 기후 위기는 국가적 위기를 넘어 초유의 재난이다. 우리가 치를 희생에 대해 정직하게 소통한다면, 코로나 시기에 상응하는 법적 조치들이 가능하다
저자는 환경보호에 가장 효과적인 개인적 실천은 비건이며, 빛 공해의 심각성과 우리의 삶에 어둠이 필수적이라는 사실, 고래의 의도적 혼획으로 인한 바다 생태계 파괴와 '탄소배출권' 구입을 위한 레드플러스 사업의 실태와 그 허구성, 탄소 순환림을 만들겠다며 산림을 개발. 개량하는 것보다 오히려 숲 관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숲의 생물 다양성과 탄소 저장량이 많다는 것을, 물살이의 무분별한 포획과 낚시 예능의 불편한 진실, 광고 세탁술인 '그린 워싱'을 고발한다.
읽는 내내 얼굴이 화끈거리고 뜨끔했다. 기후 위기의 심각성은 알지만 내 일이 아니라는 생각, 정부가 남이 알아서 잘 해주겠지라며 미뤘고 허울 좋은 친환경, 탄소중립이라는 말로 스스로 위안했다. 이 책은 기후 위기의 심각성과 그 문제에 대처하는 정부의 태도, 무관심 또는 근본주의자로 이념 몰이하는 우리들의 민낯을 그대로 드러낸다. 자본과 기득권 세력의 체제의 변화를 막고 재개발 대신 진정한 도시재생을, 경제성장에만 집중된 자본을 재분배해야 한다.
❝이 시대는 모두가 활동가가 되기를 요구합니다.❞
날은 화창하고 내 손에 텀블러가 들려있다고 기후 위기 문제에 안심하면 안 된다. 저자의 논조가 과한 것은 지금 기후 위기 문제의 골든타임이 끝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이례적 기후변화를 보인 지구를 떠올려 보라.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알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냉소와 포기 대신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것부터 시작.
🔖대기오염 문제는 마스크 씌우고 공기청정기 사주면 끝이라고 여기는 것, 탈석탄.에너지 전환 이슈를 진영 정치화하는 것, 안보 위협.대량 실업.사회 붕괴로 이어질 기후 난민 증가를 무슨 공상이나 과장쯤으로 치부하는 것, 축산업으로 인한 환경 파괴 때문에 채식을 하겠다는데 '너 혼자 그런다고 바뀌냐' 라며 핀잔이나 주는 것, 모두 전 지구적 생태 위기에 극히 둔감한 인식을 반영하는 우리 '어른들의 전형적인 인식이고 행태다. (77p)
🔖지금 시급한 건 축산의 전환. 특히 생산.소비의 대폭적 감축이란 방향을 선명하게 제시하는 것이다. "우리가 먹는 방식을 바꾸는 것만으로 지구를 구할 순 없지만, 먹는 방식을 바꾸지 않고 구하기란 아예 불가능하다." (102p)
🔖'환경적 영향에 대한 생각 없음'이 지구에 대한 큰 범죄 행위를 낳는 셈이다. 이 '생태적 악'에서 특기할 점은 평범성뿐만 아니라 그것을 수행하는 자들의 범접하기 힘든 부지런함과 꾸준함이다. 세대와 정권이 바뀌어도 자연 과과만큼은 한결같다. (115p)
🏃♀️🏃
저자는 개인이 기후위기를 위해 실천할 수 행동으로 매년 9월 전 세계적으로 열리는 기후정의행진에 참여할 것을 우리모두에게 권한다.
#탈인간선언 #김한민 #한겨레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