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덱스 - 지성사의 가장 위대한 발명품, 색인의 역사 Philos 시리즈 24
데니스 덩컨 지음, 배동근 옮김 / arte(아르테)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제공
.
<인덱스의 역사>는 인덱스, 즉 색인의 역사를 통사적으로 알려준다. '양피지 한 묶음을 접은 뒤 책등에서 한꺼번에 묶어 만든 코덱스(codex)라는 형태의 책'이 나오면서 함께한 색인은 800년의 역사를 지나왔다. 색인은 콘코던스 (concordance) 라고 불리는 용어 색인과 주제 색인, 그림 색인, 운문 색인 등 다양한 형식으로 존재했다.

고대 로마에서는 서가의 두루마리를 보관하면서 팻말로 대략적인 위치를 표시했는데 이는 미래의 색인의 기능을 암시한다. 로마인에게 '인덱스는 이름표'를 뜻한다.

12세기 설교를 전파하며 독자들의 효율적인 성경공부를 위해 필요한 것을 즉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디스팅티오'라는 색인의 형님뻘이 등장한다.
13세기 코텍스와 알파벳순이 자리를 잡은 후, 그로테스트는 자신의 독서 정리를 위해 백과 사전식 색인을, 생셰르 휴는 최초의 성경 성구 사전을 만들며 용어 색인을 만든다.

양피지로 필사를 하던 시기에는 색인의 표시자가 필사지나 글씨의 크기로 다른 경우 쪽 번호까지 동일하게 베끼지 못해 원본과 다른 경우가 많았으나 대량 인쇄와 제본이 가능해졌지만 쪽 표시는 전지 번호로 대체되거나 인쇄공의 수고가 필요한 부분이었다. 구텐베르크 이후 백 년이 지나면서 쪽 번호가 모든 책에 찍히게 되고 알파벳순에 버금가는 책 색인의 기본 요소가 되었다.

❝ 색인은 죄가 없다❞

초창기에 색인은 책을 제대로 읽지 않게 만든다는 걱정도 있었다. 색인을 빠짐없이 읽으면 당신의 머릿 속에 저작 전체를 담을 수 있다는 유혹도 있었다. 영국 토리당과 휘그당은 '풍자 색인'으로 서로를 조롱했다. 1718년에서 20여 년 동안 색인을 두고 벌어진 세 번은 논쟁은 '풍자 색인'을 잘 보여주는데 색인으로 원작을 조롱하는 수준에 입이 떡 벌어진다. (사진 참조) 이 내용을 다룬 5장을 너무 재밌게 읽었다. 그런 시련을 겪고 색인은 학문의 불가피한 요소로 자리 잡는다.

소설에 색인은 어색한 조합이지만 그런 시도는 있었다. 색인에 매료된 루이스 캐럴은 엉뚱하고 규칙 파괴적인 색인으로 언어적 유희를 즐겼고, 리처드슨은 도덕적 교훈을 전달하기 위해 매개체로 이용하기도 했다. 소설의 서사적 특징을 포착해 내는 일은 쉽지 않다. 좋은 서사적 기항지를 제공하는 건 어려운 일이다.

1877년 세계 도서관장 회의를 통해 보편 색인 프로젝트가 거론됐고 색인 협회가 창설되었다. 이후 흐지부지됐지만 정기간행물 색인이 만들어지면서 포괄적 검색엔진을 향한 걸음은 계속되었다.

21세기는 자동화된 용어 색인 시대다. 1981년 마크렉스 색인부터 신덱스, 스카이 색인으로 발전된 컴퓨터 색인 작업은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지만 여전히 주제 색인은 주관적이며 인문학적 소양이 필요하다. 또한 검색창이 용어 색인을 대신할 수 있지만 주제 색인을 대체하진 못 한다. SNS의 해시태그는 색인을 닮았다. 우리 모두는 주제 색인 작성자가 될 수 있다.

색인의 역사를 통해 책의 가치와 그 물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되었다. 원문을 분해하고 재조립하고 때론 포장하고, 왜곡하는데 이용된 인덱스의 역할은 흥미로웠다. 그러나 색인의 궁극적인 역할은 저자가 의도하는 곳으로 친절하게 안내하는 길이 아닐까. 그 길을 따라가다 우연찮게 얻게 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색인을 만든 사람의 숨겨 놓은 선물일 것이다.

이 책의 색인은 폴라 클라크 베인이라는 전문 색인 작성자가 만들었는데 색인이 이렇게 재밌는지 처음 알았다. (사진 참조) 인덱스라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책이라는 본질, 물성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강추하고 싶다. 무엇보다, 책이 재밌다!

😅 재밌는 색인
-시간 낭비 [수고하셨습니다-색인 작성자]
-유머 ['재치 있는 색인'참고;거의 다 왔어요-색인 작성자]
-실패 ['쓸데없는 일' '웃긴 색인' '울기'참고]230~235
-Z,z,z[이제 잠들 시간이야ㅡ색인 작성자]

🔖명심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실은 우리가 구글 검색을 한다는 것은 실제로 웹 검색을 한다는 말이 아니라 웹에서 구글의 색인을 검색한다는 말입니다.

🔖"Qui scit ubi sit scientia habenti est proximus(찾고자 하는 지식이 어디 있는지를 아는 자는 그것의 획득에 근접해 있다)." (347p)

#WcAreAllSubjectIndexersNow
#인덱스 #데니스덩컨 #아르테출판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