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의 절반 읻다 시인선 15
프리드리히 횔덜린 지음, 박술 옮김 / 읻다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두 번을 읽었다. 경이로운 찬가가 가득했고 자연을 노래하고, 가끔 너무나 독일인스러운 시를 쓴다는 감상을 태연히 하며 옮긴이 해제를 보는데 ‘오늘날까지도 횔덜린을 집요하게 따라다니는 것은 ‘미쳐버린 시인’이라는 수식어다.(p.327)’을 읽고 너무 놀랐기 때문이다. 심지어 수록 시의 절반 이상이 심한 광기에 빠진 이후에 쓰여졌다니. 다시 앞 장으로 넘어갔다.



-

또한 광인의 글을 예술 작품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가 하는 미학적 문제를 놓고 가장 큰 논란과 관심의 대상이 된 것 역시 이 시기의 작품들이다. 휠덜린은 전성기에 이미 정형시의 리듬과 구조와 고전적 상징 세계를 완벽하게 장악했던 만큼, 그러한 정형성이 차례로 해체되고, 파편화되며, 심연을 향해 과감히 기울어지고, 끝내 침묵과 교묘하게 섞여드는 언어로 화하는 과정은 유럽 현대시의 발전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p.335)

-


 

알고 보더라도 그의 글이 그저 광인의 것이라 생각되지 않는 이유는 내내 신을 노래하고 자연을 풍성하게 그려내고 있는 황금빛 시이기 때문이다. 마치 신의 계시와도 같은 시들에서는 비난보다는 찬미가, 절망보다는 희망이, 어둠보다는 빛이 느껴졌으므로. 배경을 알고 읽으니 자연스레 흐르는 계절에 따라 다채로운 옷을 입는 자연을 좁은 방의 창 밖으로 바라보는 사람의 뒷통수가 보이는 듯 했다. 불멸의 자연과 필멸의 인간을 보면서 나는 이상하게도 내 마음의 시간을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허무할 수도 있지만 그래서 소중한 시간을 나를 갉아먹는 생각으로 보내고 있지 않나 하고.

 

다만 단어 하나하나를 따져보자면 쉽지 않은 시인 것은 틀림이 없다. 나도 뒤에 주석을 여러번 오가며 읽었는데, 그리스 신화라던가 여러 배경 지식을 알고 있다면 좀 더 수월히 이해 할 수 있었을 것 같다. 나는 중간부터 조오금 귀찮았던 탓에 시는 감성과 필이지 하면서 그냥 흐르듯 읽었지만… 신기하게도 이걸 읽었는데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고 싶어짐. 비단 이 시집만 그런 것이 아니라 안 읽으면 유럽 운문들을 읽기 어려운 것 같아… 이젠 이것도 하나의 바이블인듯.





근심과 분노를 이기는 불멸의 기쁨이,

황금의 날이, 실은 매일의 끝에 있음을.


「디오티마를 잃은 메논의 비가」

 


좋지 않구나,

필멸의 생각들로

영혼을 버리는 것은. 허나

말을 나눔은 좋구나, 가슴에 

담아둔 것을 말하는 일, 사랑의

날들에 대해, 예전에 있었던

일들에 대해, 많이 듣는 일도 좋구나.


「추억」


 

미약한 것에도

크나큰 시작이 찾아올 수 있나니.


「그리스」


 

평야의 잎사귀들이 멀리 스러지면,

흰색은 골짜기로 떨어지네,

그럼에도 한낮은 높은 햇빛으로 반짝이고,

도시의 성문으로 축제의 빛은 쏟아지네.


이는 자연의 고요이니, 들판의 침묵은

사람의 정신과 같네, 드높이 드러나는

분별들, 이는 자연이 높은 상像으로

드러나기 위함이네, 봄의 부드러움 없이.


「겨울」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읽은 뒤 솔직하게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