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도
최진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왜 죽지 않았는가"


어린 원도가 보는 앞에서 자살한 '죽은 아버지'

그 아버지가 사라지고 엄마와 살고 있는 '산 아버지' 그리고 바깥의 돌봄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손을 뻗느라 정작 아들에게는 소홀했던 '엄마'와 엄마가 데려온 예의바르고 누구에게나 사랑받는 '장민석'. 이 넷은 원도의 삶 전반을 쥐고 흔든다.


이야기는 불친절하다. 사건과 서사는 부족하고 읽는 내내 날 것으로 쏟아지는 원도의 어두운 감정은 마치 폭력과도 같다. 원도는 내내 증오하고 미워한다. 꼬인 삶의 실타래를 따라가다 분노를 발견하고, 삶의 동력과도 마찬가지였던 질투와 열등감 그 기저에는 사랑받고 싶다는 열망이 끓고 있다. '엄마 아니면 그 무엇도 아니'므로, 그는 언제나 채워져 본적이 없다. 만족스러운 적이 없었다. 항상 결핍되었다.

시커멓게 비워진 구멍은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히 알지도 못한채 타인의 시선과 인정을 게걸스레 먹어치우고도 부족하여 원도에게 많은 것을 원하게 했다. 결국 그 탐욕이 원도의 상황을 벼랑으로 몰아갔음에도 그는 여전히 알지 못한다. 모든 일은 남의 탓 같고, 내 앞에서 죽어버린 아버지 탓 같고, 내게는 그러지 않았으면서 장민석의 등교길을 배웅하며 웃어주던 어머니 탓 같고, 응당 내 것이었어야 했을 부모의 사랑을 가져가버린 장민석의 탓 같고.


'이런 인물이라면 차라리 죽는 게 낫지 않은가.'


원도가 소설 내내 하고 있는 질문은 죽기 위해 과오를 돌이켜보는 질문이 아니다.

왜 죽지 않았는가, 왜 살고 있는가, 이 질문을 하는 나는 무엇인가, 받는 너는 무엇인가, 숨 쉴 틈도 없이 질문이 몰아친다. 결국 모든 게 삶의 의미를 찾는 여정이다. 죽기 위해 답을 찾는가, 살기 위해 묻는가.

원도의 질문들에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발이 꼬여 넘어지는 기분이었지만 그렇게 침잠하다 보면 선명해진다. 이 질문이 향하는 곳은 원도가 아니라 나라는 것을. 나는, 그리고 당신은 이 질문에 답을 할 수 있는 날이 올까.


-

왜 사는가.

이것은 원도의 질문이 아니다.

왜 죽지 않았는가.

이것 역시 아니다.

그것을 묻는 당신은 누구인가.

이것이다. (p.240)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읽은 뒤 솔직하게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