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기술
에리히 프롬 지음, 권오석 옮김 / 홍신문화사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저자 : E.프롬   번역 : 권오석

사랑의 기술이라는 제목은 마치 우리가 생각하는 연애의 기술이라고 생각하기 쉬웠다. 함께 책을 읽는 분이 추천하기에 가볍게 생각했지만 이 책은 인간이 생각해야 하는 근원적인 문제에 대해서 고찰해주고 있었다.

사랑은 쉽고 누구나 할 수 있는 행위라고 생각하지만 이 책에 저자는 사랑은 기술이 필요하며 기술이라는 것은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는 대상이라고 말한다. 그렇기에 사랑에도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다. 우리는 어떤 지식과 경험을 통해서 사랑을 해야 하는 것일까?

어머니의 사랑은 맹목적이고 조건없는 사랑이다. 당연한 희생과 정성 그리고 관심을 통해 자식을 아끼고 사랑을 준다. 이런 아낌 없는 사랑은 쉽지 않다. 그렇기에 우상적인 사랑과 비교할 수 있다. 어떤 여성을 사랑한다고 상상해보자. 누군가에게는 연예인이 될 수 있고 다른 누군가에게는 옆집 소녀가 될 수 있다. 그녀의 생각, 사고, 성격, 취향은 고려되지 않고 맹목적인 열정으로 그녀를 애타게 그리워한다고 하면 우리는 그것을 짝사랑이라고 부를 것이다. 

짝사랑도 사랑이지만 그런 맹목적인 사랑은 완성되기 힘들 것이다. 사랑이라는 감정을 기반으로 한 행위는 관계라는 성질의 대상을 이해해야 한다. 저자는 이 관계에 주목했다고 생각한다. 

인간은 관계를 통해서 성장하고 발전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관계를 통한 초월과 합일을 통해서 성장하고 만족하며 안도한다. 그래서 인간은 관계를 지을 수 있는 무리 혹은 단체에 소속을 통해서 안도감을 느끼기도 한다. 동물은 죽음을 두려워하지만 인간은 홀로 되는 것을 두려워한다는 말이 이 뜻일 것이다.

선생은 학생을 가르치면서 학생에게 배움을 받고 의사는 환자를 치료하면서 환자를 통해 치료를 얻는다는 말을 공감하면 사랑을 이해하기 쉬울 것 같다.

하지만 우리가 사는 현대사회에서 이런 관계를 통한 삶은 쉽지가 않다. 자본주의에 입각한 대량생산, 대량 소비는 인간을 획일화하고 관계를 통한 업무적 성과보다는 개인의 역활을 강조하게 된다. 어느 사람이 어떤 역활을 수행함에 따라 업무의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업무지시에 수용적이고 조직에 협력적인 사람이 필요하게 되니 우리는 모두 지시에 획일적으로 반응하게 되는 성향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런 구조에서 인간은 필연적으로 만족감을 위해 오락에 빠지게 된다고 한다. 

단순히 인생을 먹고 사는 문제로 접근을 하게 되면 답이 없다는 생각이다. 사랑이라는 우아한 단어로 인생을 설명하고자 우리는 관계라는 성질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더이상 흔적만 남고 서로를 믿기 힘든 구조인 관계를 살아가면서 우리는 행복과 사랑을 하며 살기는 힘들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