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마인 이야기 11 - 종말의 시작 ㅣ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1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3년 1월
평점 :
베스트셀러는 여간해서 안 읽는 나지만, 이탈리아에 대해 여러가지로 관심이 생겨 결국 로마인 이야기를 선택하게 됐다. 12권이나 되지만 순서대로 읽고 싶지는 않았고, 대신 로마사에서 내가 가장 끌리는 인물인 아우구스티누스와 아우렐리우스를 다루고 있는 6권 11권, 항상 흥미를 자아내는 악한 황제들이 주인공인 7권을 골랐다.
르네상스 여인들을 읽으면서 시오노 나나미를 새로운 시각을 가진 여자라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그 생각은 이 로마인 이야기를 읽으면서 여지없이 허물어졌다. 처음엔 이탈리아의 모든 것에 올인하는 그녀의 주장에 객관성이 결여돼있다는 느낌이 들게 했다. 게르만족 or 갈리아인들을 끝까지 야만족이라고 표현하는 것도 그렇고, 역사가 악인으로 평가하는 콤무두스에 대해서도 지나치게 관대한 평가를 내리고 있다. 그가 얼마나 악한 황제였는지에 대해서는 아주 작은 부분만 할애하고 조금 과도하다 싶은 행동을 했을 땐 (누나 황녀 루킬라 암살문제라던지 원로원 6명을 제거한 사실이라던지) 그럴 수밖에 없었던 (작가 자신이 이해하기에) 모든 정황을 들어 그에게 동정표를 던져준다. 심지어는 (작가의 표현에 따르면) 이름으로 보아서 그리스 출신임이 틀림 없는 하인에게 모든 원인을 돌리기도 하니 얼마나 형평성을 상실한 평가인가.
시오노 나나미가 아무리 이탈리아의 광마니아로서 그 외의 모든 문화들은 하찮게 치부하려고 해도 로마 문화의 태반이 그리스 문화를 기반으로 둔 것을. 그럼에도 그녀에겐 이탈리아를 제외한 모든 것이 별로 신통치 않은 것 같다. 해가 지지 않는 나라 영국도, 유럽 상류 문화의 표상인 프랑스도, 서구 문명의 발상지인 그리스마저도 그녀에겐 그저 로마를 위해 존재하는 비주류일 뿐이다.
그러나 그녀의 관점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시오노 나나미에겐 같은 이탈리아인 중에서도 권력의 핵심을 추구하는 자, 현실의 의미를 온전히 누리려는 자만이 강한 매력을 느끼게 하는 것 같다. 작가 스스로가 평가한 것처럼 시오노 나나미는 매우 형이하학적인 사람이다. 그렇기 때문에 23년간 로마를 평화스럽게 다스리고 수수하게 살아갔던 안토니누스나 철저한 스토아학자면서 평생 부인밖에 모르는 수도승과도 같은 현인의 삶을 살다간 아우렐리우스 같은 사람은 그녀에겐 별반 매력을 줄 수가 없는 것이다. 여기서 그녀의 책이 내포하는 위험함을 깨닫게 된다.
그녀의 기준에는 권력을 향해 돌진하지 않는 사람, 에피쿠로스주의자들처럼(그녀는 에피쿠로스학파가 쾌락주의가 아닌 사생활주의라고 주장한다.) 현실이 주는 진정한 기쁨을 깨닫지 못하는 사람은 아무 의욕없이 상황에 순응해 가는 별 볼일 인물로 밖에 보이지 않으며, 그가 가진 가치를 서슴없이 위선적이라고까지 평가한다. 그녀가 권력형 인간을 선호하는가 아닌가 하는 문제는 사실 내가 알바는 아니다. 각자 나름대로 ideal man은 있기 마련이니까. 하지만 그것을 합리화하기 위해 그와 상응되는 사람이나 성향을 폄하하는 것은 오도된 정보를 주기에 안성맞춤이다. 더군다나 이렇게 실제 역사를 바탕으로 쓰여진 글은 그녀의 문장 하나하나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사실로써 받아들여진다.
그리스 철학자로써 살아가고 싶었지만 어쩔 수 없이 황제라는 현실을 버릴 수 없었던 아우렐리우스는 역사상 손에 꼽을 만큼 훌륭한 황제였다. 시오노 나나미에겐 시시하고 재미없는 인물일지 모르나 권력의 그 정점에 서서도 그것에 물들지 않고 가장 합리적인 모습을 찾을려고 했던 그 노력이 그 당시나 지금이나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감화를 주고 있는 것이다. 권력을 가지면 가질 수록 그것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게 대부분의 인간이라는 걸 인식한다면, 아우렐리우스는 범인이 아니었으며, 그녀가 존경해 마지않는 카이사르나 체사레 보르자와는 전혀 다른 차원의 사람이라는 걸 알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이제 동양의 한 섬나라 출신인 그녀가 2천여년간 별다른 교류없이 지내온, 지구 반대편에 자리잡은 남의 나라에 불과했던 이탈리아에 그렇게 집착하는 연유를 알 수 있을 것 같다. 유럽에서 가장 오랫동안 그리고 가장 효과적으로 힘과 권력을 손에 넣고, 혹은 손에 넣기 위해 줄다리기 했던 나라가 바로 이탈리아였기에, 그녀처럼 권력의 속성에 완전히 매료된 사람에게 이탈리아는 더 없는 훌륭한 관심거리겠구나란 생각이 든다. 무사들의 힘의 논리만이 나라의 근간이 되고 그 힘을 통해 세계제패를 꿈꾸며 전아시아를 식민지화 하려고 했던 그 제국주의의 피가 그녀에게도 흐르고 있는 것일까?
앞으로 그녀가 얼마나 더 많은 역사책을 쓰게 될진 모르지만, 내 개인적인 바람으로는 권력형 인간만을 찬양하는 것은 이제 그만 했으면 한다. 카이사르 같은 권력지향자가 세상을 움직일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할진 모르지만, 아우렐리우스 같은 지의 탐구자는 사색과 철학을 통해 인류 근원의 문제를 돌아보게 하기 때문이다. 70이 가까운 나이에도 강한 남자만을 매력적으로 느끼는 그녀가 솔직히 부담스러워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