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아 괜찮아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어린이 마음 건강 교실 3
토마스 S. 그린스펀 지음, 홍성미 옮김, 김령언 그림, 전미경 감수 / 길벗스쿨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길벗스쿨에서 출간된 '괜찮아 괜찮아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는

완벽하지 않으면 불안해하는 아이들이 읽으면 좋은 도서입니다.

간혹~ 주변에서 완벽하려고 애쓰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

'스스로를 힘들게 하는구나...' 라는 생각이 들곤 하는데,

어른이 아닌 아이들도 완벽함을 추구한다는 것...

그리고, 자기도 모르게 완벽함을 추구하면서

스스로 스트레스받아 건강하지 못한 아이들의 모습을 볼 수 있는 도서입니다.

이렇게 만든건 어쩌면 어른들의 책임도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어요.

선천적으로 그런 아이들도 있지만,

주변에서 보고 자란 모습이 아이들에게 그대로 전달되기도 하니까요.





마냥 즐겁고 신나게 뛰어놀아야 할 아이들이

어려서부터 완벽해야 한다는 생각에 빠져

벽돌을 등에 짊어지고 가는 모습을 보니 안쓰럽게 느껴지더군요.

스스로 완벽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니 만족을 느끼기 보다

더 잘하기 위한 늘 잘못한 부분만 생각하고 있어요.

이 도서에서는 아이들의 짐을 덜어내고

마음을 건강하게 해주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어요.

완벽주의라는 짐과 걱정, 두려움을 덜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만족감을 느끼는 법을 알려주고 있답니다.





잘했는데도 만족하지 못하며 스스로를 칭찬하기보다는

잘못한 부분만을 생각하고 실수한 부분을 탓하기도 하지요.

우리는 살면서 많은 실수를 하고 살아갑니다.

사람이기 때문에 실수하는 거고

실수는 자신의 발전을 위해서 필요하기도 한데

실수한 부분만을 생각하며 웃지 못하는 아이들을 보고 있자니 안타까웠습니다.





부모들은 자녀를 사랑해요.

자녀를 위해 무엇이 최선인지 고민하고, 해로운 것으로부터 자녀를 지키기 위해 애쓰지요.

그렇지만 때로는 아낌없는 사랑이 자녀에게 도움이 안 될 때가 있어요.

자기도 모르게 아이들의 실수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이런 경우에요.

그래서 아이들은 부모에게 인정받으려고

완벽해져야 한다는 느낌을 받게 되어 더 열심히 노력하기도 한답니다.





부모들의 아이들의 흠을 자주 들추어내거나,

다른 사람에 대해 안 좋은 말을 자주 하는 것,

아이들 스스로 해야 할 일을 대신해 주는 것,

형제자매끼리 비교하는 것,

지나치게 엄격한 규칙을 들이대는 것 등이

아이들 스스로 완벽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기도 해요.

하지만, 아이가 가진 완벽주의는 아이 탓이 아니며 다른 누구의 탓도 아니에요.

전등 스위치를 딸깍 켜듯이,

자아관을 쉽게 바꿀 수는 없지만 자아관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은 있어요.

이미 많은 완벽주의자들이 자아관을 바꾸는 데 성공했으며 무거운 짐을 내려놓았답니다.

자아관을 바꿔 변할 수 있다면 한 번쯤 도전해 볼만하지 않은가요?





자기 자신을 어떻게 보느냐,

자신을 둘러싼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달라지니

조금만 생각을 바꿔보는 건 어떨까요?

아직 살아갈 날들이 많은 아이들인데

벌써부터 짐을 짊어지고 간다는 것이 안쓰러워서 말이죠...

가벼운 마음으로 늘상 웃는 아이들의 모습~

바로 이런 모습이 아이들 본연의 모습이 아닐까 싶어요.

아이들이 완벽이라는 옷을 벗어던지고 가벼운 마음으로

긍정적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주는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