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렌츠가 들려주는 야생거위 이야기 과학자가 들려주는 과학 이야기 47
손선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야생거위하면 저는 예전에 보았던 애니메이션 닐스의 모험이 생각나요.

어느 날 요정을 잡은 개구쟁이 닐스는 요정의 마법으로 아주 작아진답니다.

커다란 거위를 타고 날아가던 닐스의 모습이 아직도 아른거려요.

로렌츠가 들려주는 야생 거위 이야기에서는

로렌츠가 야생 거위와 오랜 시간을 함께 하면서 얻은 관찰의 기록입니다.

그들이 어떻게 사랑하고, 어떻게 싸우며, 자신의 삶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는지 보여주는 일기라고 볼 수 있어요.

야생 거위에 대한 관찰 기록을 통해 주변의 다양한 동물과 대화하고,

그 동물들을 이해하는 방법을 알게 되는 도서입니다.





거위는 본래 야생의 기러기를 잡아다가 사람들이 길들인 것이라고 해요.

이미 4,000년 전 이집트에서 사육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개나 고양이처럼 사람들과 일찍부터 함께 한 동물입니다.

집 거위는 주로 식용으로 사육되지만,

길러 주는 사람과 남을 잘 구별하고 주인을 잘 다르기 때문에

집 보기용으로 키우는 경우도 있다고 해요.

낯선 사람이나 동물이 나타나면 매우 시끄러운 소리로 울어댄답니다.





거위에게는 각인이라고 하는 본능이 있는데 태어난 후

처음 몇 시간 동안 움직이고 대화를 나눈 상대를 엄마로 생각해요.

로렌츠는 각인이라고 하는 과정을 몰랐을 때,

새끼 거위에게 어미로 각인된 적이 있어 새끼 거위를 집으로 데려왔었어요.





로렌츠가 야생거위를 연구하게 된 이유는

야생 거위들이 태어났을 때 엄마를 각인하는 것처럼 어릴 적 보았던

거위들의 하늘을 나는 모습이 강렬하게 남아있었기 때문이에요.

야생 거위는 마치 사람처럼 행동하는데

수컷이 암컷에게 구애를 할 때에는 보통 때보다  자신을 더 과시하고 다닌다고 해요.

평소에 두려워하던 다른 수컷 거위를 겁도 없이 공격하고,

구애의 대상이 가까이에 있으면 걸어가도 되는 거리를 일부러 날아다니기도 해요. ㅎㅎㅎ~~

거위가 구애를 위해 사람처럼 행동한다는 것이 재미있어요.

야생 거위는 사람처럼 사회생활을 하는 동물로

사람처럼 가족 관계를 갖고 생활하며, 가족 간의 사랑도 유별나요.

한 번 결혼하면 상대방이 사라지는 일이 없는 한 대부분 죽을 때까지 함께 한다고 해요.





야생 거위들은 수컷이 암컷에게 사랑을 구하거나

싸움을 걸 때, 행동으로 의사 표현하는데

좋을 때나 흥에 넘칠 때에는 승리의 함성을 내지르기도 하고,

새끼가 위험하거나 적이 등장하면 날카로운 소리를 내기도 해요.

혀가 없어서 많은 소리를 내지는 못하지만

적에게 내는 소리와 사랑을 구하는 소리는 구별이 가능하답니다.





야생 거위는 살기에 적합한 장소를 찾기 위해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할 필요가 없는 장소를 찾으면 이동하지 않아요.

이동할 때 새들은 대부분 하루에 200~600km를 날아요.

철새들이 V자를 이루며 날아가는 건

이동할 때 바람의 저항을 가장 적게 받기 위해서에요.

앞에서 날던 철새가 지치면 서로 교대하면서 날아간답니다.

철새들은 낮에는 태양을, 밤에는 별이나 달의 위치를 보고 방향을 찾는다고 추측해요.

또 지구 자기장으로 방향을 알 수 있다는 것이 실험을 통해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이 책에서는 야생 거위의 생태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동물에 대한 애정까지 배울 수 있는 도서입니다.

우리가 평소에 듣거나 깨닫지 못하는 야생 거위들의 삶과 대화가 들어 있는데

사람과 비슷한 야생 거위에 대해서 알아가는 재미가 쏠쏠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