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 상 ㅣ 만화 한국 대표 문학선 14
박완서 원작, 김광성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14년 7월
평점 :

만화 한국 대표 문학선 14번째 이야기 '그 산이 거기 있었을까'입니다.
한국 소설가협회 추천도서로 원적은 박완서님의 작품입니다.
만화가 김광성님은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를 원작으로 만화로 꾸몄으며
10년 만에 후속작인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를 만화화하게 되었습니다.

주니어김영사의 <만화 한국 대표 문학선>은 시대의 요구에 발맞추어
활자보다는 영상을 선호하는 청소년들에게 우리 문학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기획된 시리즈입니다.
해방 전후에서 6.25 전쟁 이후에 이르기까지,
그 시대의 역사와 그 시대의 가장 치열했던 고민을 담고 있는
작품들을 엄선하여 만화로 엮어냈습니다.

흔히 소설 원작의 만화라고 하면, 소설을 쉽게 읽히기 위해
줄거리를 요약해 놓은 학습만화류의 도서를 떠올리게 되는데
그러한 것들은 문학작품으로서도, 만화 그 자체로서도 생명력을 지니지 못해요.
<만화 한국 대표 문학선>은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만화가 자신의
고유한 영역에서 예술성을 획득했을 때,
원작 소설의 향기와 가치를 기대로 공유할 수 있다는걸 보여준답니다.

이 책의 배경은 6.25전쟁으로 폐허가 되어버린 서울의 모습을 담아주고 있습니다.
엄동설한에 피난길에 올랐지만 총상을 입은 오빠를 데리고 갈 수가 없어
부득이 아랫동네인 현저동에 자리를 잡게 된답니다.
올케와 함께 끼니를 해결하기 위해
빈 집에 몰래 들어가 먹을 것을 챙기고 행복해 했습니다.
그 때 당시에는 그 어떤 것보다 입에 풀칠하는 것이 최우선이었지요.
인민공화국 아래에 있기에 혹시라도 일이 잘못되면 안될까
개성에서 피난을 내려오다가 병자가 생겨 주저 않았다는 거짓말로
가족들끼리 입을 맞추어야 했습니다.

마부 신씨가 인민위원회에 나와서 강 위원장을 도와달라는 얘기를 하게 되고
그 때부터 박씨는 그곳에서 일하게 된답니다.
유난히 박씨네 집에 자주 찾아오던 신씨는
오빠가 결핵에 걸려 피난을 가지 못했다는 거짓말을 진실로 알아듣고
미제 결핵약을 구해다 주기도 하지요.
그러다가 자취를 감춰버린 마부 신씨가 갑자기 나타나서
북으로 가야한다는 얘기를 하게 되고,
박씨와 올케와 젖먹이는 그 길로 북으로 가게 된답니다.

마부 신씨가 북으로 가는 트럭을 미리 섭외해 놓았지만
올케는 신임장을 가져오지 않았다는 핑계를 대
트럭을 먼저 올려 보내게 되고 걸어서 북으로 가게 된답니다.
낮에는 빈집에 숨어서 잠도 자고, 밥을 먹으며 지내고 밤에만 움직였는데
아기가 아파 잠시 열흘 정도 남의 집 신세를 지기도 한답니다.
그 곳에 더 머무르고 싶었지만
분위기가 심상치 않아 더 이상 머물 수 없게 되고,
마님이 알려주셨던 교하에 갔다가 그곳에서 머무르게 된답니다.
그 곳은 전쟁하고는 상관없어 보이는 평화로운 곳이었고
그 곳에 머무르는 사람들은 피난오다가 살게 된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러다가 교하를 떠나 예전에 살았던 돈암동 집으로 향하게 되는데...

안타까운 시절의 이야기이라 책 내용이 조금 무겁기도 하지만
그 때 당시의 분위기를 그대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도적질을 해야 하고,
거짓말을 해야만 했던 그 시절...
그래도 올케의 순발력으로 조금 더 가족간의 재회가 빨라졌던거겠지요.
아가씨를 지켜주기 위해, 그리고 아기 엄마로써,
식구를 책임져야 하는 모습 등 올케의 인상이 참 좋게만 느껴졌습니다.
어려운 시절 이야기여서 모든 걸 풍족하게 가지고 있는
요즘 아이들에게 그 시절 그 이야기를 보여주고 싶은 생각이 든 도서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