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제, 초등부터 알아야 하나요? - 즐깨감 입학사정관제 준비서 와이즈만 영재학습법
이미경.이지은 지음, 누똥바 그림,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 와이즈만BOOKs(와이즈만북스)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입학사정관제가 중요시되면서 요즘 초등때부터 입학사정관제를 준비하는 아이들이 있는데요. 

과연 대학을 들어가기 위해 입학사정관제를 초등때부터 준비해야 하는지 의문이 들기도 한답니다.

입학사정관제의 의미는 아이들을 성적만으로 평가하지 않고 숨은 잠재력을 찾아내기 위한 것인데요.

아이들의 가능성과 잠재력이 단지 시험 점수로만 평가한다는 것이 아쉬웠었는데

이런 제도가 도입되어서 한번으론 안심이 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더 많은 사교육을 부추기는건 아닌지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점수로 표시할 수 없는 의지나 열정, 노력과정 같은 것을

입시 점수에 반영되기 위해 생겨난 것이 바로 입학사정관제입니다.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외국과는 다르게 입학사정관제가 도입된지 얼마 되지 않았고

입학사정관제가 체계적으로 관리 되지 않아 어려움이 있는데요.

아이들의 숨은 잠재력을 찾기 위해서 입학사정관들이 검토해 보는 자료가 많아

실질적으로 검토해 보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라고 해요.

그만한 인력이 보충되지 않아 제대로 된 인재를 찾기가 어렵다는 얘기지요.

 

 

 

 

그래도 아이들의 잠재력을 인정해 준다고 하고, 교육 방침이니 따라갈 수 밖에 없겠지요.

그동안 아이들은 성적에만 신경쓰면 됐었는데

오히려 입학사정관제가 생기고 나서 입학사정관에서 요구하는 부분을

충족시켜 주기 위해 더 많은 학원들이 생겨났다고 합니다. 

입학사정관제 도입으로 초등때부터 다양한 경험을 쌓아주고

포트폴리오를 작성하여 서류를 차곡차곡 모아 두어야 하는데요.

대학을 입학하기 위해 그동안의 자료들을 모아놓는 것은 좋으나

아이들의 재능을 부각시킬 수 있는 것이 얼마나 되는지는 미지수입니다.

 

 

 

 

교육 정책이 바뀌면 따라가는 사람은 정말 힘들답니다.

무엇보다도 아이들이 가장 힘이 들텐데요.

수도 없이 바뀌는 교육정책 속에서 상위 3%의 아이들은

어떤 정책이 나와도 꿋꿋하게 자기 할일을 한다고 합니다.

가장 많은 아이들을 차지하고 있는 중위권 학생들이 가장 난감해 한답니다.

모든 부모들의 소망은 아이들이 좋은 대학에 들어가는 것이니 만큼

새로운 교육제도가 도입되면 따라갈 수 밖에 없는데요.

아무것도 모르는 것보다 초등때부터 조금씩 준비하다 보면 성적에 연연하지 않고 

정말로 아이들의 숨은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다면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아요.

 

 

 

 

입학사정관에는 내 꿈을 위해 어떠한 노력해 왔는지를 중요하게 평가하기 때문에 진로 결정을 먼저 해야 해요.

사실 어른들도 어려운 진로 결정을 아이들에게 어려서부터 결정하라고 하는 것이 쉬운일은 아니지만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과 관심있는 부분부터 생각하다 보면 진로를 찾기가 훨씬 수월해진답니다.

진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적성과 진로를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것이 중요해요.

내가 좋아하는 분야는 어떤 것인지, 그래서 어떤 공부를 더 하고 싶고

공부와 연결해서 어떤 직업을 얻으면 좋을지 머릿속에 그려놓아야 해요.

 

 

 

 

모든 입학사정관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바로 진정성입니다.

똑같은 자기소개서를 봐도 그 글에서 얼마나 진정성이 느껴지느냐에 따라서 아이들을 판단하게 됩니다.

입학사정관 전형을 위해서는 지원 동기, 독서 활동, 자기주도적 노력, 봉사 활동 등 다양한 이야깃거리가 필요한데요.

이런 것들은 단시간에 나타나는 것들이 아니고

오랜 시간 진정성을 가지고 계속 노력을 해야 하는 부분이고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하라고 해서 한 것들은 아무 감동도 주지 못해요.

진로 선택은 잠재력을 계발하고 발휘하기 위한 과정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돈 많이 버는 직업, 인기 많은 직업 대신 나의 잠재력과 통하는 진로, 직업을 고민해야 해요.

 

 

 

 

부모들은 아이들의 잠재력을 키워주기 보다는 돈 많이 벌면서 안정적인 직업을 선택하길 원하는데요.

돈을 많이 벌어서 편하게 살면 좋겠지만 아이들이 과연 그 직업에 대해서 만족도가 높은지가 중요해요.

소위 상위 엘리트라고 일컬어지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조사해 본 결과

그 사람들 중에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직업에 만족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확률적으로 낮았답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만든 입학사정관제 소개 자료에 보면

입학사정관제의 목표는 '학교 생활에 충실하고 창의력과 남을 배려하는 따뜻한 마음을 지니고,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을 지닌 참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라고 나와 있어요.

혼자서만 우수한 학생이 아니라 타인을 위하는 마음이 실력이 되는 걸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거지요.

사람을 위하는 활동, 사람들과 함께하는 활동을 가지고 그 안에서 리더십과 협동심을 키워나가면서

나의 타고난 소질과 전문성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지금의 점수보다는 앞으로의 가능성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것!

이것이 입학사정관제의 가장 큰 입이랍니다.

입학사정관제가 어떤 것이며 초등때부터 어떻게 준비해하는지를 보여주는 책으로

부모들이 한번쯤은 읽어봐야 할 도서가 아닐까 싶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