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몹시도 수상쩍은 과학 교실 2 - 날씨 ㅣ 와이즈만 스토리텔링 과학동화 시리즈
서지원 지음, 한수진 그림,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감수 / 와이즈만BOOKs(와이즈만북스)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몹시도 수상쩍은 과학교실 두번째 도서는 날씨편입니다.
과학에 흥미를 더해주는 와이즈만 북스의 몹시도 수상쩍은 과학교실은 첫번째에 이어 두번째 도서가 출간되었는데요.
과학을 어려워하고 재미없어 하는 아이들에게 흥미를 유발시켜
과학의 세계에 보다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도서입니다.
주인공으로 나오는 아로와 건우는 과학이 재미없고 도대체 과학을 왜 배우는지조차 모르는 아이들인데
아로의 옆집으로 이사 온 공부균 선생님을 만나게 되면서 과학의 흥미로움에 조금씩 빠져들고 있습니다.

과학은 접근 방법을 어떻게 해주느냐에 따라서
아이들이 과학을 좋아할 수도, 싫어할 수도 있는 과목인데
요즘 아이들의 현실은 무조건 암기만 해야 하는 암울한 환경에 놓여 있어요.
단지 시험을 잘보기 위해서 과학을 공부해야 하고
좋은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서 암기만을 위한 방식으로 과학을 접근하다보니
원리는 모른 채 단편적인 지식만 줄줄줄 암기하고 있지요.
사실 과학이란 원리를 알아가는 과목이고 그러한 원리를 알아가면서
조금 더 깊이 들어가면서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 싶도록 유도하는 것이 과학이 아닐까 싶어요.

아로의 옆집으로 이사 온 공부균 선생님은 이렇게 아이들에게 호기심을 유발시켜 수업을 진행하는데요.
어쩌면 공부균 선생님은 아로와 건우를 위해 존재하는지도 모르겠어요. ㅋㅋㅋ~~
그만큼 과학을 재미있게 가르쳐 주시는데요.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과학에 접목시켜 주어 공부라는 생각없이 아이들은 과학의 세계에 풍덩 빠지게 된답니다.

이번에 아로는 빨래가 마르지 않아
수성으로 이사를 가면 빨래가 잘 마르지 않을까 생각을 하게 되는데요.
공부균 선생님의 과학교실에 갔다가 날씨에 대한 탐험을 하게 된답니다.
날씨를 일으키는 삼총사에는 태양, 수증기, 공기가 있어야 한다는 사실과
내 맘대로 날씨 제조 키트를 가지고 날씨를 만들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지요.
날씨 현상이 있기 때문에 지구에 생명체가 살 수 있고
수증기를 통해 물의 순환에 대해서 알아보기도 한답니다.
잠시 공부균 선생님이 자리를 비운 사이에
호기심 많은 아로는 날씨 리모컨 버튼을 마음대로 누르다가 리모컨을 망가뜨리게 되고
선생님이 만들어 낸 변신 쿠키와 젤리를 먹은 아로와 건우는 태양과 지구로 몸이 변하기도 한답니다.
그러면서 태양과 지구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알게 되지요.
태양이 가장 높이 떠 있는 시간은 12시인데
하루 중 오후 2시경이 가장 기온이 높은 이유에 대해서도 알게 되는데요.
그 이유는 바로 햇빛을 받은 지표면이 공기를 덥히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지요.

언제나 호기심 많은 아로군...
이번에는 정체불명의 유리병 속에 들어있는 것이 궁금해서 유리병 속을 열었다가 바람을 먹게 되는데요.
바람을 먹는 아로의 몸은 바람으로 가득차 둥실둥실 떠다니게 된답니다.
물론 만능 해결사 공부균 선생님이 오셔서 바람을 잠재우는 가루를 뿌려주어
다행히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는데요.
이를 통해 고기압과 저기압에 대해서도 배우게 된답니다.
낮에는 육지가 바다보다 빨리 뜨거워지고
밤에는 육지가 빨리 식고, 바다가 천천히 식는 원리에 대해서도 알게 되지요.
그래서 여름에는 바다에서 육지로 남동풍이 불고
겨울에는 육지에서 바람이 부는 북서풍이 생긴다는 사실도 함께요~~

이번 도서에서 아로와 건우는 늘 주변에서 일어나는 날씨 현상이지만
그동안에 관심이 없었던 날씨의 비밀에 대해서 알게 되고
학교에 새로 오신 교장 선생님에 대한 의문이 풀리지 않은 채 마무리되는데
몰래 교장실에 들어갔다가 타게 된 엘리베이터의 비밀이 궁금해집니다.
도대체 교장 선생님은 어떤 분이시기에
아이들에게 공부만을 강요하는지... 수상한 엘리베이터의 정체는 무엇인지 궁금해지는데요.

몹시도 수상쩍은 과학교실과 함께라면 과학을 훨씬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요.
학교에서도 아이들에게 이렇게 과학을 가르쳐주면
어쩌면 우리나라 아이들은 전부 다 과학자가 될지도 모릅니다.
과학은 늘 주변에서 존재하는거고
원리를 통해 접근하면서 재미있다는 사실도 알게 되고 말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