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한번 해 봐! - 빨간머리 마빈의 도전 이야기 햇살어린이 12
루이스 새커 지음, 슈 헬러드 그림, 황재연 옮김, 이준우 본문색채 / 현북스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그냥 한번 해봐!>는 빨간머리 마빈의 도전이야기입니다.

자신없는 일에 뭔가 도전한다는 것이 쉬운일이 아니에요.

마빈 역시 도전을 하기 위해 수도없이 갈등을 하고 도전에 앞서 자신이 할 수 있을지 의문을 가져보기도 한답니다.

마빈이 도전을 하기까지 친구들의 도움이 있었는데요.

정작 마빈이 도전하는 날 친구들은 마빈이 도전하는 것에 아무런 관심도 없었답니다.

마빈이 어떤 도전을 할지 궁금해지시죠?

표지에서 보여지는대로 겁을 잔뜩먹고 자전거를 타고 있는 마빈의 모습이 보여지는데요.

얼핏 보면 정말 별거 아닌 도전 같은.. ㅋㅋㅋ~~

책을 읽고 나니 표지에서 모든 걸 보여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마빈은 얼마 전에 산악용 자전거를 선물로 받았답니다.

엄마와 아빠를 조르고 졸라서 받았는데

웬일인지 마빈은 자전거를 고이 모셔두고 건드리지도 않았어요.

그동안 마빈이 타던 자전거는 동생 린지에게 주기로 했어요.

마빈은 그동안 타던 자전거를 린지에게 주면서 작은 자전거는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게 되죠.

마빈은 그렇게나 갖고 싶었던 자전거를 갖게 되었지만

정작 마빈의 산악용 자전거는 마빈이 타주기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었답니다.

 

 

 

 

친구들은 마빈에게 산악용 자전거가 생겼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죽음의 언덕에서 마빈이 자전거 타는 걸 보겠다고 기대를 하게 된답니다.

마빈은 이 핑계 저 핑계를 대며 어떻게 해서든지 자전거를 타지 않으려고 한답니다.

다행히 린지를 울렸다는 이유로 자전거를 일주일 동안 탈 수 없게 된 마빈은 한편으론 기쁘기도 하답니다.

엄마 핑계로 자전거를 타지 않아도 되니까요.

문제는 그 다음인데요.

친구들은 일주일 후에 마빈이 그 자전거를 죽음의 언덕에서 탄다는 이야기를 하게 되고

마빈은 자신의 생각과는 다르게 분위기상 자전거를 타야만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답니다.

그때부터 마빈은 혼자서 걱정에 시달리게 된답니다.

 

 

 

 

새로 산 자전거는 좋았지만 그동안 타던 자전거보다 조금 컸기에 마빈은 솔직히 겁이 났었거든요. 

아직 한번도 타보지 않은 자전거를 평지에서 타는 것도 아니고

형이 타다가 여러번이나 다쳤던 죽음의 언덕에서 탄다는 생각에 겁이 났어요.

하지만 마빈은 친구들에게 '겁쟁이 마빈'이라는 소리가 듣기 싫어 급기야는 자전거를 타야 한다는 걸 알게 된답니다.

엄마와 아빠가 자전거를 타지 말라고...

위험하니 죽음의 언덕은 위험한 곳이라고 한마디라도 거들어 주면

핑계를 대고 어떻게 해서든지 안탈 수 있으련만... 부모님들은 오히려 마빈에게 용기를 주시곤 하지요.

마빈은 자전거를 타는 일주일을 기다리는 동안 마음은 수도없이 갈등을 해야 했답니다.

정작 마빈이 자전거를 타기로 한 토요일 친구들은 마빈이 죽음의 언덕에서 자전거를 탄다는 사실조차 관심이 없는데...

마빈은 과연 죽음의 언덕에서 자전거를 탈 수 있을까요?

 

 

 

 

 

죽음의 언덕은 용기를 시험하는 곳이에요.

친구들의 등쌀에 못 이겨 죽음의 언덕에서 자전거를 타게 된 마빈은

약속된 날이 오기까지 불안에 떨며 하루하루를 보내게 된답니다.

성공한다면 영웅이 되겠지만, 실패가 두려워 미리 포기하면 친구들의 놀림을 받는다는 생각에 포기할 수도 없답니다.

'그냥 한번 해 봐!'는 마빈이 자전거를 타는 날까지 마빈의 심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데요.

자전거 타는 것이 무서워 차라리 동생과 유니콘 놀이를 하는게 더 낫다고도 생각한답니다.

누구든지 새로운 일을 도전한다는 건 쉬운일이 아니랍니다.

더군다나 용기를 시험하는 죽음의 언덕에서 자전거를 탄다는 것만으로도 대단한 용기가 필요하지요.

마빈은 부모님과 친구의 응원에 힘입어 죽음의 언덕에서 자전거를 타게 되는데...

과연 성공적으로 자전거를 잘 탈 수 있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