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장면 인문 그림책 14
임선아 지음, 탁영호 그림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어릴 때만 해도 짜장면은 운동회때나 어린이날, 졸업식 등 특별한 날에만 먹을 수 있었던 음식이었어요. 

그랬덕 귀한 음식이 지금은 언제든지 먹을 수 있고, 한끼를 해결할 수 있는 인기 많은 음식이 되었어요.

언제 어디서든 부르기만 하면 철가방맨이 달려와주기 때문에 배달 음식의 선두주자라고 하면 짜장면을 빼놓을수가 없어요.

미래아이에서 출간된 <짜장면>은 짜장면에 관한 인문책입니다.

짜장면의 역사부터 어떻게 짜장면이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됐는지,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있는 음식이 되기까지의 과정이 들어 있어요.

 

 

 

 

우리나라 사람은 달콤하면서도 부드럽고 고소한 짜장면을 하루에 200만 그릇이나 먹는답니다.

200만 그릇을 국수가락으로 이으면 지구 둘레를 반 바퀴 돌 수 있을 정도예요.

짜장면의 인기가 어느정도인줄 알겠죠?

저도 가끔 어떤걸 먹어야 할지 모를때는 짜장면을 생각하게 되니까요.

만 원이 넘는 짜장면이 있는 반면 천 원하는 짜장면도 있을 정도로 가격은 천차만별이지만 모양이나 맛은 어디서 먹어도 비슷하답니다.

 

 

 

 

삼국시대쯤 중국에서 우리나라에 밀이 들어왔지만 밀은 운반하는 비용과 운반과정에서 상하는 부분 때문에 값이 비쌌어요.

그래서 밀가루로 만든 국수는 귀족이나 왕 이외에는 먹을 수가 없었답니다.

대신 서민들은 밀가루 대신 메밀가루나 녹두가루 따위로 국수를 만들어 먹었는데

일 년에 딱 한 번 유둣날에는 밀가루로 만든 국수를 먹었어요.

밀가루가 귀한 데다 잔치 때 국수를 먹었기 때문에 국수는 귀하고 특별하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어요.

 

 

 

 

짜장면의 시작은 화교들이 만든 자지앙미엔에서 시작되었는데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들어서면서 우리나라에서 살던 화교들은 오갈 곳이 없었어요.

고민 끝에 화교들은 특별한 기술 없이도 먹고 살 수 있는 중국 음식점을 열게 되었는데요.

자지앙미엔은 느끼한 맛과 짠맛 때문에 우리나라 사람들 입맛에는 맞지 않았어요.

우리나라 사람들 입맛을 잡기 위해 느끼한 맛을 줄이고 단맛을 내는 재료를 넣어 우리나라 사람들의 입맛에 맞는 맛을 찾아냈어요.

천덕꾸러기인 양파를 짜장면에 넣기 시작하면서 짜장면의 단맛과 향긋한 냄새가 강해졌어요.

마침 국가에서 밀가루를 소비시키기 위해 쌀밥 못먹는 날인 무미일이 생기면서 짜장면은 점심에 먹는 친근한 음식으로 자리잡게 되었답니다.

 

 

 

 

누구나 쉽고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짜장면...

짜장면에 이렇게 긴 역사가 있는 줄 몰랐어요.

특별한 음식이 일반인들에게 인기 많은 음식이 되기까지의 우리 역사와 문화가 들어 있어 책을 보면서도 내내 짜장면 생각이 났답니다.

짜장면은 중국에서 시작됐지만, 우리나라 사람들 입맛에 맞게 변하면서 우리나라 음식이 되었답니다.

어른들도 아이들도 신이 나서 먹는 짜장면...

오늘은 점심으로 짜장면을 먹어볼까 봐요~~~ ㅋ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