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월든
헨리 데이빗 소로 지음, 한기찬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 전에 읽었던 <나는 아주, 예쁘게 웃었다>에서 소로의 월든에 대한 책이 나왔을 때 얼마나 반가웠는지 모른다.
내가 아는 것 책이 다른 책에 나오면 반가워서 오히려 읽는 책이 더 사랑스러워지는 느낌...
<나는 아주, 예쁘게 웃었다>는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외국으로 떠난 아가씨가 지은 책인데
그는 한참 동안 많은 나라를 돌아다니고 시간이 날때는 '월든'을 보면서 위로를 받고, 마음을 달래기도 했다.
사람의 마음을 치유해주고 보듬어 줄 수 있는 책이 바로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월든>이다.
그는 자연 속에서 생활하면서 자연에서 느낀 모습들을 책 속에 고스란히 담아주고 있다.
자연에서 산다는 것만으로도 마냥 행복할 것 같은데 그는 남들과는 다른 시선으로 자연의 모습을 담아내고 있다.
보이는 그대로 나열하는 단어들 속에서 잔잔한 감성이 들어 있다.
그의 책을 읽고 있노라면 옆에 앉아서 함께 자연의 모습을 보는듯한 느낌이 든다.
<월든>은 그것이 씌어졌던 시대보다도 오늘의 우리에게 절실히 다가올 뿐만 아니라 시간이 흐를수록 그 속에 담긴 메시지가 선명하게 전달된다.
단순히 '자연으로 돌아가자'라는 구호가 아니라 상실돼 가는 인간성을 되찾기 위한 모습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가 월든 호수로 가기로 마음먹은 것은 파상풍으로 세상을 떠난 형의 죽음 때문인데
월든 호수 옆에 땅을 가지고 있던 '콩코드의 위대한 현자' 에머슨은 그가 그곳에 살도록 허락해 주었다.
처음에 책을 한 권 쓰기 위해 호수를 찾았지만 그곳에서 2년 2개월 정도를 보냈다.
"내가 숲속에 들어간 이유는 신중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인생의 본질적인 사실들만을 직면하기 위해서, 그리고 인생에서 꼭 알아야 할 일을 과연 배울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그리고 죽음의 순간에 이르렀을 때 제대로 살지 못했다는 사실을 깨닫지 않기 위해서였다. 삶이란 그처럼 소중한 것이기에 나는 삶이 아닌 것은 살고 싶지 않았고, 도저히 불가피하기 전에는 체념을 익힐 생각도 없었다." <본문 p. 108 일부 발췌>
전설에 의하면 굿을 벌이던 인디언들이 불경스런 주문을 외었는데, 그것은 인디언들이 결코 범해서는 안 되는 나쁜 일이었다.
그들이 이렇게 굿을 벌이는 사이에 산이 흔들리더니 갑자기 무너지기 시작했는데
그 무리들 중에서 월든이라는 노파 한 사람만 겨우 달아나게 되고 호수의 이름은 바로 그 노파의 이름을 따서 생긴거라고 한다.
월든의 풍경은 수수한 규모이며 아주 아름답기는 하지만 장엄하지 않고, 오랫동안 그곳을 찾거나 그 물가에서 사는 사람이 아니면 관심을 가질 만한 것도 없다. 많은 종족들이 호수의 물을 마시고 그것에 감탄하고 그 깊이를 짐작해 보면서 세월과 더불어 사라졌는데도 불구하고 그 물은 여전히 푸르고 투명하기만 하다. 한 차례의 봄도 거르지 않고 아담과 이브가 에덴 동산에서 쫓겨나던 그 봄날 아침도 월든 호수는 존재하고 있었을 것이라고 말한 그는 이 세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월든 호수가 하늘에서 내리는 이슬을 증류하기 위한 천국의 특권을 받았다고 한다.
그가 월든 호숫가에 오두막을 짓고 살면서 느낀 점은 자연의 흐름을 느긋하게 지켜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은 빨리 빨리만 외칠줄 알지 이렇게 자연의 흐름을 바라보며 느긋하게 살고 있는 사람들은 얼마나 될지...
삶의 여유가 없어서인지 빨리빨리가 습관으로 잡아서일지는 모른다.
자연에 들어가서 살게 되면 소로처럼 자연의 흐름을 느끼면서 여유있게 자연을 바라볼 수 있는 눈을 가질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들기도 했다.
호숫가 얼음 가장자리의 곡선이 아름답다고 느끼기도 하면서 그곳에서 새로운 규칙을 발견하기도 하는 그는 자연을 통해서 많은 영감을 얻었다.
더 이상 표현할 수 있는 언어가 없을 정도로 자연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아름답게 묘사하고 있는데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아름다운 호숫가의 사게절을 그린 소로의 자아 여행 기행문 <월든>은 우리가 어떻게 진정 가치 있는 삶을 살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을 준다.
겸허하게 자연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아무런 불평불만 없이 살고 있는 동식물을 보면서 나 역시도 자연처럼 살아야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