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양들아, 잘 잤니? - 겨울 녹색연합과 함께하는 대한민국 깃대종 2
녹색연합 글, 이장미 그림, 최현명 감수 / 웃는돌고래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산양은 '숲 속에 사는 작은 양'이라는 뜻이에요. 

흔히 산양은 양과 비슷할거라 생각하지만 생김새나 살아가는 모습은 우리가 보는 양과는 많이 다르답니다.

산양은 고무 같은 발굽 덕분에 가파른 바위 위를 미끄러지지 않고 잘도 오르내리지요.

그래서 산양은 주로 바위가 많은 산악 지대에 살아요.

오래 전에는 많은 수가 살았지만 지금은 개체수가 많이 줄어 천연기념물 217호로 멸종 위기종 1급 동물로 보호받고 있어요. 

산양이 멸종 위기종이 된 까닭은 살 곳이 파괴되고, 사람들이 몰래 산양을 잡았기 때문이에요.

자연재해나 살기 힘든 기후 조건 때문이기도 하고, 과도한 개발로 산양이 살 수 있는 곳이 줄어드는 게 가장 큰 문제랍니다.

산양들을 지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동화와 함께 여행을 떠나 보아요.

 

 

 

 

송이는 금강소나무가 쭉쭉 뻗어 자라는 울진에서 할머니와 함께 살아요.

가을이 되면 할아버지랑 할머니는 날마다 송이버섯을 따러 산에 가는데

송이버섯처럼 영근 아이가 되라고 이름도 송이라고 지었대요.

할머니랑 할아버지가 송이를 따는 동안에는 수상한 옆집 소라 언니와 놀기도 한답니다.

소라 언니가 왜 수상하냐구요?

마루에 보니까 커다란 상자에 덫이랑 올무가 가득 들어 있는걸 송이가 봤거든요.

송이는 그 언니가 몰래 동물을 잡아서 팔아먹는 사냥꾼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답니다.

 

 

 

 

소라 언니는 야생동물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고

숲에 산양이 얼마나 사는지 조사도 하고, 덫이나 올무도 거둔대요.

그리고 사람들한테 산양에 대해 알려 주는 글도 쓰구요.

그러고 보니 덫이나 올무는 동물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언니가 숲에서 찾은 것들이네요.

 

소라 언니는 무인 카메라에 찍힌 산양들을 보여 주었어요.

산양을 만나기 위해 산에 갔는데 걷고 걸어도 산양은 보이지가 않아요.

그곳에서 언니는 산양들이 싼 똥 무더리글 말견하고 손으로 덥석 집기도 하지요.

그리고는 똥 덩어리가 몇 개인지 세어보기도 하고 유리병에 넣기까지 했어요.

 

 

 

 

날이 추워지고 겨울이 왔어요.

눈이 내리자 할아버지와 소라 언니는 산양이 걱정되어 짐을 꾸려 산양을 찾으로 나섰어요.

송이도 가방을 꾸리고 할아버지랑 언니 발자국을 따라 갔어요.

지난번에 소라 언니와 왔던 바위에서 갔더니 아기 산양이 있었어요.

송이는 아기 산양과 함께 물도 먹고, 빵도 나눠 먹고는 잠이 들었어요.

양을 꼭 붙들고 잠이 든 송이를 할아버지가 발견해서 집으로 데려오지요.

그리고, 송이는 하루가 지난 다음에 깨어나게 된답니다.

송이는 봄이 오기 전까지 산양과의 재미있는 추억을 쌓아간답니다. 

 

 

 

 

지금은 멸종되어 가고 있는 산양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는 책이었어요.

산양은 먹이를 찾아 산 아래 마을로 내려오다 배고프고 지쳐 쓰러지곤 했어요.

그래서 사람들은 직접 산양 구조 작업에 나섰지요.

<녹색연합>은 산양을 지키기 위해 산양이 어디에서 어떻게 살고 있는지 조사하고 있어요.

산양이 다닐만한 길에 무인카메라를 설치하기도 하고, 산양 보금자리에서 똥을 조사하기도 하지요.

산양이 어떤 동물인지, 얼마나 중요한 동물인지, 울진 숲에 있는 산양들이 어떤 위험에 처해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동화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